Global Equity

중국 규제 이슈, 어떻게 볼 것인가

bondstone 2021. 7. 28. 08:28

KB 해외주식

중국 규제 이슈 어떻게 볼 것인가?

1) 중국주식 단기 투자선호도 중립 하향
- 당국의 플랫폼 규제 강화가 전자상거래와 사교육(비영리화) 기업을 넘어 헬스케어, 부동산 등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당국은 데이터 안보와 빅테크들의 반독점, 출산율 제고, 소득분배 불평등 해소 등을 표면적 이유로 내세우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산업 규범화를 명분으로 빅데이터를 확보하고 정부의 주도권(통제권)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흐름이 장기화될 위험이 있다.

2) 다시 불거진 정책 리스크, 정부 육성 산업에 집중
- 중국식 시장경제체제에 대한 의구심으로 외국인 자금이 이탈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본토 성장주에 대한 긍정적 의견을 유지하지만, 규제 범위가 헬스케어, 부동산으로 확대될 경우 창업판(헬스케어 비중 32%) 부진과 함께 상해지수는 3,200pt까지 하방 압력이 확대될 수 있다.
- 성장주 내에서 규제산업 (전자상거래 플랫폼, 인터넷, 헬스케어, 부동산 등) 과 첨단 육성산업 간 괴리가 커질 것이다. 헬스케어를 제외한 태양광, 전기차, 반도체에 집중해야 한다. 지수로는 헬스케어 비중이 낮은 과창판50지수(STAR50)와 CSI500지수(A주 시가총액 301~800위)를 선호한다.
- 본토증시>홍콩증시, 중소형주>대형주, 성장주>가치주 선호 흐름은 동일하다. 홍콩증시는 H지수, 항셍테크지수 모두 플랫폼 기중이 높고, 3분기의 규제 시행세칙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

 

* 관련 리포트
- (7/28) 한국 주식투자자는 중국 규제 이슈를 어떻게 봐야 하나 (하인환) https://bit.ly/3BMN7QS
- (7/28) The KB's Core View: 중국 단기투자선호도 중립 하향 (신동준) https://bit.ly/3dN0gyX
- (7/27) 플랫폼/교육산업 규제 여파가 헬스케어로 이어지는 이유 (강효주) https://bit.ly/2WnYC18
- (7/26) 다시 불거진 정책 리스크, 정부의 육성 vs. 규제 산업 괴리 확대 (박수현) https://bit.ly/3kWvAjq
- (7/16) 중국 플랫폼 기업의 규제 이슈는 3분기까지 지속될 전망 (박수현) https://bit.ly/3erj6fD
- (20/9/4) 홍콩의 미래, 중국 정부의 중장기전략과 리스크 분석 (박수현) https://bit.ly/2Z5kBIt

 

 

KB 주식시황
한국 주식투자자는 중국 규제 이슈를 어떻게 봐야 하나
https://bit.ly/3BMN7QS

[이슈 진단] 중국 규제 이슈: 중국 정부가 지향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 필요
중국 정부의 규제 대상은 플랫폼 기업 및 교육산업 등이다. 또한, 연이은 규제로 인해 추가적인 정책이 나올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금융시장에 반영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규제 분위기에서 중국 정부가 의도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겠다. KB증권은 중국 정부가 ‘정부의 주도권을 확대 (통제력 강화)’하는 중이라고 판단한다 ((7/16), 『중국 플랫폼 기업의 규제 이슈는 3분기까지 지속될 전망』, 박수현). 정부의 의도를 고려한다면, 중국 정부의 규제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겠다. 대응 전략을 고민하기 위해서는 ① 규제의 대상이 되는 것들의 ‘공통점’은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써 섣부른 접근을 경계해야 하는 부분과 ② 규제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들에 대한 판단을 통해 현재의 조정을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겠다.

첫째, 규제의 대상이 되는 것들의 ‘공통점’ 확인이 필요하며, 그 공통점은 바로 ‘내수에 대한 규제’라고 판단한다. 중국 정부가 현재 규제하고 있는 플랫폼 기업과 사교육 등은 주로 내수 경제활동과 관련된 부분이다. 중요한 것은 ‘수출 기업에 대한 규제’는 부재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황을 고려해본다면, 2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① 정부의 주도권 확대라는 중국 정부의 의도를 고려하면 ‘규제 리스크’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다른 부문으로 규제 대상이 확장될 가능성 (부동산, 헬스케어 등)도 존재한다. 즉, 전반적인 금융시장의 불안감은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② 하지만 정부 규제의 대상이 ‘중국 내수 경제부문’에 국한된다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다.

한국 경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지만, 한 가지 고려해야 할 리스크는 한국 증시에서의 외국인 매도다. 중국 금융시장 불안, 중국 기업들에 대한 글로벌 펀드들의 신뢰성 하락은 위안화 약세로 연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원화 동반 약세 및 신흥국 패시브 자금에서의 자금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 증시에서의 외국인 자금 이탈 압력이 계속될 수 있는 환경이다.

둘째, 규제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낮은 것들에 대해서는 역발상 전략이 필요하다. 즉, 현재 규제의 대상인 ‘내수 부문’과는 반대인 수출에 대해서, 그리고 미국?유럽 등과의 주도권 싸움이 진행중인 분야에 대해서도 규제 가능성이 낮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뉴스 플로우를 통해 이러한 판단에 확신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친환경’ 분야다. 중국 정부의 규제가 계속되는 환경 속에서 중국이 전국 단일 탄소배출권거래소를 출범 (7/16)했다는 소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대응 전략] 규제 리스크는 지속될 가능성, 직접적 영향은 제한되더라도 외국인 매도는 경계
중국 정부의 규제 의도를 생각하면 규제 리스크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그 대상이 확대될 리스크도 존재한다. 금융시장 불안감은 지속될 수 있는 환경이다. 다만, 규제의 대상이 ‘내수 부문’에 국한되고 있어 한국 경제에 미칠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 다만, 위안화 약세에 따른 원화 약세, 그리고 외국인 매도세는 경계할 필요가 있겠다.

한편, 중국 정부의 규제 대상이 될 가능성이 낮은 분야에 대해서는 오히려 현재의 조정을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겠다. ‘친환경 테마’가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