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유동성 공급 의지가, 유동성을 아끼는 길 <신동준의 채권이야기> 정부 채권수급안ㆍ韓銀유동성 정책 관건 11월 6일 이후 12영업일 동안 지표금리인 국고채 5년물의 움직임은 ‘안전자산’이라는 말을 무색하게 할 만큼 변동성이 컸다. 전일 대비 변동폭이 평균 0.14%포인트였으며, 12영업일 동안 단 이틀을 제외하고 매일 0.10%포인트 이상 움.. 기고 2008.11.24
불황기의 채권투자전략 개인투자자들을 위한 글입니다. 불황기의 채권투자전략 (2008.11.17) 채권금리, 변동성은 심하겠지만 점진적 하향안정 예상 11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4.0%로 0.25%p 인하했다.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한 한달 여 만에 무려 1.25%p를 인하한 것이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거나 내리.. 기고 2008.11.17
상황이 나빠질수록 커지는 금리인하 기대 상황이 나빠질수록 커지는 금리인하 기대 10월9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5.0%로 0.25%p 인하했다. 금리인상을 결정한 지 두 달 만의 일이었으며, 미국, 유럽, 영국 등 주요 7개국 중앙은행들이 글로벌 신용경색을 막기 위해 함께 정책금리 인하에 나선 다음날이었다. 당시 한국은행 총재는.. 기고 2008.10.23
금융시장 안정대책, 원화가 빠졌다 [Market Insight] 금융시장 안정대책, 원화가 빠졌다 현대증권 리서치센터 신동준 10월19일,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은 공동으로 국제금융시장 불안 극복방안을 발표하였다. 은행 대외채무에 대한 정부 지급보증과, 한국은행의 경쟁입찰 스왑거래 도입으로 최소한 연말까지 달러유동성 부족에 .. 기고 2008.10.21
유동성 불안 여전, 채권금리 변동성 확대 유동성 불안 여전, 채권금리 변동성 확대 9월 위기설이 잠잠히 넘어가는가 싶더니, 리먼브라더스의 파산보호 신청과 미국의 구제금융 법안 통과 이후로 전세계 금융시장이 어수선한 분위기다. 국내 채권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9월16일 리먼의 파산보호 신청 직후 국고채3년 금리는 전세계적인 금리인.. 기고 2008.09.25
9월 위기설 이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9월 위기설 이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현대증권 리서치센터 신동준 외국인 채권 만기 재투자 진행 중, 위기설 진정 ‘9월 위기설’로 온 나라와 금융시장이 극심한 변동성을 겪었다. 혼란기 동안 정작 외국인들의 채권매도 혹은 만기자금의 이탈은 없었다. 가격변수들의 변동성은 최근 무역수지 적.. 기고 2008.09.09
외국인 보유채권 만기에 대한 영향력 점검 [Market Insight] 외국인 보유채권 만기에 대한 영향력 점검 (2008.7.17) 현대증권 리서치센터 신동준 외국인 보유채권 만기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피부로 느끼기에 정작 당사자인 채권시장보다 주식 등 다른시장 참가자들의 불안감이 커 보인다. 외국인들이 채권을 팔면 금리가 오를 것이므로 그.. 기고 2008.07.17
인플레 안정에 대한 의심 [Market Insight] 인플레 안정에 대한 의심 (2008.6.9) 현대증권 리서치센터 신동준 3/4분기 중반, 물가는 안정될 수 있을까? 안정되는 듯 하던 국제유가가 이틀(6/5~6) 만에 16달러 이상 폭등했다. 사상최고치를 경신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배럴당 140달러에 육박하면서 멀게만 느껴졌던 150달러도 눈 앞으로 성큼 .. 기고 2008.06.09
채권금리 급등의 원인과 전망 채권금리 급등의 원인과 전망 채권시장이 극도의 혼란에 빠져있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11월9일 이후 보름 만(영업일 기준)에 무려 0.71%p가 폭등하며 2002년 6월 이후 5년5개월 만에 6%를 넘어섰다. 특히 지난 28일에는 0.24%p가 급등하면서 하루 상승폭으로는 SK글로벌과 카드채, MMF 환매 사태가 동시에 겹.. 기고 2007.11.30
은행채 발행 급증의 원인과 전망 은행채 발행 급증의 원인과 전망 Ⅰ. 시장상황 - 은행채와 CD 발행에 따른 채권금리 급등, 신용 스프레드 확대 Ⅱ. 은행채 및 CD 발행 급증의 배경 1. 제도적 측면 2. 위험자산 선호를 반영하는 자금흐름 변화, 은행의 자금부족 3. 수요부진은 또 하나의 축 4. 원화유동성비율 제고 Ⅲ. 은행채 .. 기고 2007.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