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fixed Idea] RQFII, 중국 채권시장을 여는 Key
한국 RQFII 800억 위안 (13조원) 한도 취득
7월초 한중 정상회담에서는 한국에 중국 자본시장을 개방하는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1) 위안화 허브로 원-위안화 직거래시장 개설, 청산결제은행 지정 2) RQFII 허용 3) QFII 확대 4) 위안화표시 채권발행 장려 등이다.
채권 투자자 입장에서는 회사 규모 요건, 최소 투자 한도와 50% 이상은 주식에 투자해야 하고 중국 채권 유통시장에서 비중이 10% 수준인 거래소 시장만 투자할 수 있는 QFII보다는 중국 채권시장의 90% 가까이를 차지하고 대부분 종류의 채권이 거래되는 은행간 채권시장에 투자할 수 있는 RQFII가 훨씬 유리하다. 아직 단계를 거쳐야 하지만 RQFII와 중국 채권시장에 대한 이해와 준비가 필요하다.
중국 채권시장 소개
중국 채권 발행시장은 발행주체별로 국채, 지방정부채, 중앙은행어음, 금융채 (정책,상업), 회사채 (국유,민간,기업어음), 국제 위안화채권 (팬더본드,딤섬본드)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발행과 거래 비중은 정책금융채 > 국채 > 회사채,기업어음 순이며 잔존만기는 3년 전후 구간이 가장 많다. 중국 채권시장은 발행잔액 기준으로 미국, 일본, 프랑스에 이어 세계 4위의 규모이며 한국(1500조원)의 3배 수준이다. GDP 대비 채권시장 규모는 50% 수준으로 적은 편이라 성장 가능성은 높다.
중국 채권 유통시장은 장외시장과 장내시장으로 구성되며 장외시장은 은행간 채권시장, 상업은행 창구 시장으로 장내시장은 상해, 심천 증권거래소 시장으로 나뉜다. 은행간 채권시장이 유통시장의 대부분인 87% 정도를 차지하며 거래소 시장은 상해가 대부분이다. 투자자 중에서는 상업은행이 60% 수준으로 가장 크다.
중국 채권투자 환경
중국 국가 신용등급은 AA- (S&P), Aa3 (무디스)로 S&P 기준으로는 A+인 우리나라보다 한 등급 높고 무디스 기준으로는 같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금융위기 이후 금리가 하락했으나 중국은 하락 제한 또는 상승하면서 국내 유사한 채권 대비 100bp 이상 높은 수준이어서 비용을 제하더라도 고금리 메리트가 있다.
또한 현재는 위안화 강세가 주춤해 환헤지형 상품이 고려되겠으나 향후 위안화 국제화 등으로 중장기적으로 강세시 환차익도 가능하다. 최근 위안화 예금의 급증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위안화 관련 상품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FICC·FX·해외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저금리를 대처하는 전략적 환헤지 상품 (0) | 2014.11.06 |
---|---|
(일본보다 현실적인)대만의 저금리 사례와 시사점 (0) | 2014.11.06 |
브라질 국채, 이제는 투자 타이밍인가? (0) | 2014.04.02 |
위안화 환율절하와 오버슈팅의 위기(危機) (0) | 2014.03.27 |
위안화 약세, 우크라이나 사태 중간 점검 (0) | 201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