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Credit

이탈리아 은행: NPL 급증에 따른 은행부실 가능성

bondstone 2016. 7. 5. 15:12

이탈리아 은행: NPL 급증에 따른 은행부실 가능성 

 

1. 이탈리아 경제의 최대 리스크: NPL 급증에 따른 은행부실 가능성

- 실질실효환율 상승에 따른 무역수지 악화, 해외저축 증가로 인한 자본수지 적자 확대 등으로 국가전반의 경쟁력 약화

- ECB가 역내 정부와 은행권의 자금공급자 역할을 지속하고 있어 ECB 정책 변화 시 금융불안 우려 

 

2. 부실채권(NPL) 급증 배경

 

1) 유럽은행권의 공통된 불안요인

 - 금융위기 이후 경기둔화, 대출수요 부진에 따른 수익성 악화, 부실자산 급증으로 은행 건전성이 크게 훼손. 마이너스금리 정책 시행 등에 따른 금융기관의 수익성 악화로 은행들의 대출채권 상각이 쉽지 않은 상황

 

* 162월 현재 NPL 규모는 1960억유로, 향후 상환여부가 불투명한 자산을 포함하는 광의의 부실여신 규모는 3600억유로. 특히 비금융기업의 NPL이 전체의 71%

* 이탈리아 은행의 NPL비율은 08 6.3%에서 156 16.7%로 급증. 유럽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준. 스페인 7.1%, 프랑스 4.3%, 독일 3.4%, 영국 2.9%

 

2) 은행권 손실반영 미흡

 - 은행권이 보유하고 있는 NPL이 공정가액보다 높게 평가

 - 상환가능성이 극히 낮은 악성 NPL은 2,000억유로: 이탈리아 은행권은 이를 850억유로(액면의 43%)로 장부에 반영. 실제 매각가액은 이를 크게 하회할 전망

 - 나머지 1,600억유로의 NPL은 액면의 50% 수준으로 장부에 반영

 - 전체 NPL 3,600억유로 중 상각처리 되지않고 있는 자산을 1,700억유로로 추정(FT) 

 

3) 주변국 대비 부실채권 회수기간 장기화

 - 투자자들의 이탈리아 NPL 매입 수요 저조(EU 평균 부실채권 회수 기간이 2~3년인데 반해 이탈리아는 8년 소요).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높은 할인율(액면가의 20~25%)을 제시. 은행들은 NPL 매각에 소극적 

 

3. 최근 이슈

- 은행 부실시 공적자금 투입에 앞서 투자자가 손실을 부담(bail-in)하는 제도가 올해 1월부터 EU 내에서 본격 시행. 은행채 투자 기피로 자본조달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

- 작년 11월 이탈리아 4개 지방은행, 12월 포르투갈 Novo Banco 은행이 bail-in 사태를 경험하면서 투자자들의 은행채 매입 기피 심화

- 이탈리아는 중소규모 은행들이 난립되어 있고 소액채권자들의 비중이 상당하여 bail-in 시행에 따른 정치·사회적 위험도 상당

- 과거 아일랜드, 스페인 등은 bail-in 적용에 앞서 공적자금이 투입된 배드뱅크 설립을 통해 대규모 부실자산 정리가 가능했음. 그러나 공적자금 투입을 통한 구조조정이 어려운 이탈리아의 경우 민간 금융기관의 참여가 불가피했던 상황 

 

4. NPL 처리과정과 잡음

1) 이에 이탈리아 정부는 민간 금융기관들이 참여하는 구제기금(Atlante Fund, 43억유로, NPL 2천억유론데??!!!) 설립을 통해 부실은행 증자 및 NPL 매입. 그러나 턱없이 부족한 기금 규모로 고갈 위기  

 

- Atlante Fund UniCredit, Intesa Sanpaolo 등 대형은행과 국영은행인 CDP, 보험사 등 67개 기관 참여

   - 조성된 자금은 부실은행 증자(최대 70%)  NPL 유동화증권 매입(최소 30, Junior tranche)에 투입

   - 1) Atlante Fund가 후순위증권 매입으로 은행들의 원활한 NPL 매각과 투자자 참여 유도, 다른 트렌치의 과도한 가격하락 방지. 2) 정부는  1월, 선순위 NPL 유동화증권에 대한 정부보증 프로그램(GACS)을 도입. 이를 통해 은행의 원활한 NPL 처분과 재무구조 개선을 기대

 

   - 4월말 BP Vicenza 유상증자에서 투자자들의 저조한 참여로 Atlante Fund가 92% 인수, Fund 자금의 38% 투입

   - 이탈리아 3대은행인 UniCredit, Untesa Sanpaolo, UBI Banca는 작년말 4개 지방은행 구제를 위해 9억유로 투입. Atlante Fund 참여 및 추가 출자 등으로 대형은행의 부실은행에 대한 익스포져가 계속 증가하고 재무건전성이 약화될 가능성. Atlante Fund가 단기적으로 은행시스템 위험 완화에 기여했으나, 우량은행이 부실은행을 지원하면서 시스템 전반으로 부실위험 확산 가능성

 

2) 이에 Brexit 이후인 6월말 이탈리아 정부가 정부재정(400억유로)을 통한 은행 자본확충(bail-out)을 추진하기 위해 유로존 단일정리체제의 핵심인 채권자 손실분담(bail-in) 규정의 일시정지를 요청했으나 EU측은 즉각 반발. 71일 바이트만 분데스방크총재도 “Brexit에 대응하는 중앙은행 지원책은 이제까지 충분했다고 발언하며 명시적으로 반대의사 표명

 

3) 그 와중에 74 ECB는 이탈리아 3위 은행인 방카 몬테 파스키(BMPS: Banca Monte Paschi de Siena)에게 NPL 규모를 작년말 469억유로에서 18년까지 145억유로로 감축하는 등 부실채권 축소 계획 제출을 요구했다는 뉴스로 이탈리아 은행주 급락. 방카 몬테 파스키 은행은 부실채권비율이 41%로 이탈리아 은행 중 가장 높은 수준. BMPS 주가 13% 하락

 

5. 시사점

- 수익성 없는 은행 퇴출 촉진으로 은행시스템 전반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bail-in 제도 도입의 근본 취지. 그러나 Atlante Fund는 대형은행이 공동으로 부실은행 증자에 참여하는 구조. 은행간 통폐합과 구조조정을 오히려 어렵게 하는 요인

 

- 은행에 문제 발생시 유럽 은행연합의 가이드라인은 투자자 손실부담(bail-in) 이후 공적자금 투입(bail-out). 손실분담은 주주-코코본드(신종자본증권)-코코본드(후순위채권)-여타 후순위채권-선순위채권과 예금자 순으로 부실자본의 8%까지 손실을 메운(bail-in) 다음, 공적자금을 투입(bail-out)

 

- 따라서 예금자와 투자자들의 손실분담을 우려한 자금이 이탈리아 은행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이탈 중. 이탈리아 정부의 재정이 충분치 않아 유동성공급과 자본확충 여력이 부족한 상황. 특히 이탈리아 은행들은 여타국들에 비해 자국 국채 보유비중도 월등히 높은 상황(자산의 10.4%). 결국 ECB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 (ECB 국채매입 비율 변화 검토 소식으로 가장 수혜를 받는 이태리 국채금리가 급락한 배경)

 

- 다만, 가이드라인을 각국별로 상황에 맞게 해석하여 도입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탈리아 은행들의 경우 bail-in 적용을 내년 이후로 유예하고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하는 방법이 현실적인 대안. 그러나 기본적으로 NPL 규모가 너무 커서 향후 언제든지 유로존의 리스크로 불거질 수 있는 상황

 

    응답하라 중앙은행: 유럽은행 코코본드 

 

 

 

 

6. 트레이딩 전략

ECB로부터 NPL 축소 계획 제출을 요구받은 이탈리아 3위 은행 BMPS(방카 몬테 파스키)의 뉴스가 계속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은행의 문제는 곧 이탈리아 정부의 문제와 직결되며, 이탈리아 국채는 ECB의 채권매입 대상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해결국면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해결방법을 둘러싸고 독일과의 충돌이 예상되고 있고, 표면적으로는 누적된 부실채권의 해결방법이 잘 보이지 않는다면 점에서 당분간 이탈리아 은행을 둘러싼 시끄러운 뉴스를 피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단기급반등한 주가도 추가 상승하기에는 모멘텀이 부족해 보입니다.

 

이탈리아 10년 국채선물을 같은 수량만큼 미국채10년으로 교체매매합니다.

- Short 이탈리아10년(선물): 1.27% 시장가 매도

- Long 미국10년: 진입가 1.42%, 투입비율 30%, 목표가 1.20%, 손절가 1.53%, 전략유효기간 16/07/30

  : 이탈리아 은행 부실화 우려 부각, 높게 형성되어 있는 6월 고용지표 예상치(18만명) 하외 가능성

- Short S&P500 포지션 종료(시초가 매도)

 

* 기타: 은행권 보유 국채를 위허자산으로 구분하거나 익스포져 한도를 제한하자는 논의

- 최근에는 은행 부실자산 증가 우려와 관련하여 은행 보유자산 중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국채의 부실화 가능성에 대한 사전적 대응 필요성도 제기

 

- 유로존 은행이 보유한 유로존 국채규모는 14년말 2.4조유로(자산의 9.4%)에서 15년말 2.7조유로(10.5%)로 증가(ECB). 161월 이탈리아, 스페인 은행의 자국 국채 보유비중은 자산의 10.4%, 8.8% 08년말 대비 5.9%p, 5.8%p 상승. 특히 중소형 은행들의 경우 강한 Home bias로 자국 국채를 대량 보유

 

- 올해부터 유럽에서 은행 부실시 채권자들이 우선적으로 손실을 부담하는 Bail-in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서 국채투자에 대한 체계적 bail-in이 필요하다는 주장 제기. 독일의회는 향후 유로존 국가가 ESM 지원을 받을 경우 전제조건으로 기존 국채의 만기를 자동 연장시켜 채권자가 손실을 부담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

 

- 14년 미 은행권의 미 국채 보유비중은 은행 자본의 14%인 반면, 유로존 은행권의 자국 국채 보유비중은 118%(EC)

 

- 은행권 보유 국채를 위험자산으로 구분하거나 익스포져 한도를 제한할 경우 대규모 자본확충 내지 보유국채 처분이 불가피. 보유가능 국채규모를 자기자본의 25%로 제한할 경우 유로존 은행들은 1.1조유로 정도 보유국채 축소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