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69

2021년 주식전망: 후기 코로나 시대의 한국 증시

KB 2021년 주식전망 후기 코로나 시대의 한국 증시 ▶ https://bit.ly/3epxsMk 2021년 코스피 타겟: 2,750pt 2021년 코스피 타겟은 2,750pt로 제시한다. 2021년 초까지는 중간재 사이클과 관련된 ‘소재/금융/IT부품’을 선호하며, 이후엔 성장주 (BIG, BT/IT/GT)의 강세를 전망한다. 올해는 보조금과 소비 내년엔 생산과 투자가 증시 이끌 것 내년 펀더멘탈은 생산과 투자가 이끌 것이다. 선진국 소비는 팬데믹 이전을 넘어선 반면, 생산은 아직 절반밖에 회복하지 못했다. 재고가 크게 소진된 만큼 리스탁킹 사이클도 강할 것이다. 유동성은 한국증시의 게임 체인져 역할을 하는 ‘달러약세’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몇몇 긍정적 단서를 포착할 수 있었다. 금리상승은 내년 리스..

Global Equity 2020.11.02

2020년 미국 대선 PLAYBOOK: 1년 후의 시점에서 ‘2021년 미국 주요 이슈 돌아보기’

KB 해외주식 | 미국 2020년 선거 PLAYBOOK: 1년 후의 시점에서 ‘2021년 미국 주요 이슈 돌아보기’ ▶ https://bit.ly/2TziuJW 내년 이맘 때의 시점에서, 총 4가지의 [대통령-상원] 시나리오별로 돌아보는 2021년 미국의 대통령/부통령과 상원의원 35명, 하원의원 435명을 선출하는 선거가 코 앞까지 다가왔다. 금융위기 이후에 경기사이클을 결정 짓는 것은 통화정책이었지만, 이제 통화완화 기조는 ‘상수’다. 팬데믹 이후에는 재정정책이 경제와 금융시장을 움직이는 결정 요인이다. 이번 대선으로 누가 대통령이 될지, 또 어느 정당이 의회 권력을 쥘지, 그래서 어떤 정책들이 나올지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이유다.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는 4가지다. 누가 대통령과 부통령이 되는지가 세..

News&Issue 2020.11.02

美대선 후 예상되는 3가지 변화

[신동준의 전술적 자산배분] 美대선 후 예상되는 3가지 변화 ▶ [신동준의 전술적 자산배분] 바로가기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는 11월 미국 대선 이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교착상태에 빠진 추가 재정부양 합의와 우편투표 불복 가능성, 코로나19 재확산 등 때문이다. 특히 우편투표를 둘러싼 불확실성은 짧게는 1주일, 길게는 3주 가량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여론조사와 선거인단 확보 전망은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앞서 있고, 양원을 모두 민주당이 가져갈 확률도 크다. 유럽과 미국의 코로나19 재확산 속도가 가팔라지고 있지만, 지난 봄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격은 덜한 편이다. 누가 당선되더라도 재정부양책은 합의될 것이며, 내년 상반기에는 백신이 개발되리란 기대가 시장을 지탱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대선 이후에 예..

기고 2020.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