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69

바야흐로 바이든! 미국 대선 테마 ETF 포트폴리오

KB ETF Action 바야흐로 바이든! 미국 대선 테마 ETF 포트폴리오 ▶ bit.ly/2GtvvBo 요약 바이든과 트럼프의 대선 공약을 기반으로 집중도와 상관관계 위험도를 일부 완화할 수 있는 ETF 포트폴리오를 총 4가지 테마로 압축하였다. 1) 친환경/그린: ICLN (글로벌 재생 에너지), LIT (2차 전지) 2) ESG: SUSA (주식), SUSC (채권) 3) 헬스케어/복지: EDOC (원격진료), IHF (헬스케어서비스 기업) 4) 언택트/5G/통신/교통 등 인프라: CLOU (미국 클라우드 산업), FIVG (5G 네트워크 기업), IYT (유통/운송/물류 기업) [KB ETF Action] 바야흐로 바이든! 미국 대선 테마 ETF 포트폴리오 미국 대선 관련 총 4개 테마로 구성된..

Global Equity 2020.09.08

홍콩의 미래, 중국 정부의 중장기 전략과 리스크 분석

KB Insight | 중국 홍콩의 미래, 중국 정부의 중장기 전략과 리스크 분석 ▶ bit.ly/2Z5kBIt 홍콩을 둘러싼 미중간의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압박이 강화될수록, 홍콩의 경제적 고립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홍콩은 대외의존도가 높아 전체 수출 중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다. 결론적으로 미국이 의도하는 바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개되면서, ‘홍콩의 본토화’가 오히려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단기로는 중국 정부가 홍콩을 안정화하기 위한 조치들을 발표할 것이나, 점차 홍콩의 금융중심지 및 중계무역항 역할을 기타 지역으로 분산시킬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역외 위안화 및 금융허브로서의 역할은 마카오와 상해 및 심천으로, 중계무역항의 기능은 해남도로..

News&Issue 2020.09.07

향후 10년 성장 동력은 ‘기후변화 산업’...신재생에너지, 경제적으로도 이미 ‘매력적’

신동준의 머니인사이트 향후 10년 성장 동력은 ‘기후변화 산업’…신재생에너지, 경제적으로도 이미 ‘매력적’ - 중국·신흥시장, 미국 기술주에 이은 2020년대 성장주…코로나19, 온난화가 촉매제 역할 [한경비즈니스=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지구 온난화는 이미 익숙한 개념이다. 그런데 왜 지금 ‘기후 변화’일까. ‘기후 변화 대응’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메가트렌드다. 2000년대를 주도한 성장주가 중국과 신흥 시장이었다면 2010년대는 미국 기술 기업들이 성장주였다. 2020년대 차세대 성장 동력은 기후 변화 대응 산업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환경 인식 변화, 경기 침체 극복, 초저금리와 확대된 재정 정책 요구, 새로운 일자리를 위한 프로젝트, 빨..

기고 2020.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