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69

중국 금융시장 개방 가속화에 따른 국내 자본시장 영향 점검

KB Insight | 중국 중국 금융시장 개방 가속화에 따른 국내 자본시장 영향 점검 ▶ https://bit.ly/3vRjGZG 미중 갈등의 무게중심 이동, 중국 금융시장 개방 가속화 과거 트럼프 행정부는 대중국 제재 조치를 기술/무역에 집중시켰다면, 바이든 행정부는 인권/ 금융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고 있다. 특히 위안화 국제화의 핵심 수단인 일대일로에 경계심을 드러내고 있는데, 중국이 일대일로 협업 국가들에게 인프라 프로젝트와 무역대금을 위안화로 결제하도록 유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대중국 압박 전략이 달러패권을 기반으로 한 금융시장으로 이동하면서, 중국은 시장 개방 및 위안화 국제화 속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까지 중국의 금융시장 개방 전략은 1) 국내 자본시장 개방, 2) 무역결..

News&Issue 2021.06.24

The KB's Core View: 하반기: 장기금리의 하향 안정과 성장주의 귀환

The KB's Core View 하반기: 장기금리의 하향 안정과 성장주의 귀환 ▶ https://bit.ly/3zW1RfF 요약 1) 테이퍼링 논의에도 불구하고 장기금리가 하락하는 원인은 2025년 말까지 금리인상 경로 선반영, 경기/실적/인플레 모멘텀의 2분기 peak out 등이 배경이다. 2) 미 국채10년 금리는 연중 고점을 형성했으며, 연말 1.30%까지 하향안정될 전망이다. 국고10년 금리도 1.90%까지 하락을 예상한다. 3) 장기금리 하향안정과 성장이 희소한 하반기에는 성장주가 다시 주도주로 복귀할 것이다. 미국 성장주의 표준화된 밸류에이션 멀티플은 가치주보다 낮아졌다. 자산배분전략: 장기금리 하락과 성장이 희소한 하반기, 주도주는 성장주 연준의 테이퍼링 논의가 앞당겨지는데도 장기금리는 ..

Asset Allocation 2021.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