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68

미국, 투자의 본격화: 생산 결정의 기준 변화

KB Macro 미국, 투자의 본격화: 생산 결정의 기준 변화 ▶ https://bit.ly/3bB5IDP 효율성에 대한 인식 재고, 미국 내 유형자산투자 확대로 이어질 전망 팬데믹을 분기점으로 생산 결정을 둘러싼 기업의 인식이 바뀌고 있다. 이전까지 기업의 ‘합리적 생산’ 결정이 비용 최소화를 기준으로 하고 있었다면, 이제 효율성에 대한 인식 재고가 요구되는 환경이다. 상품을 더 저렴하게 만들기 위해 신흥국으로 공급라인을 확장하던 움직임은 (1) 공급망의 안정성과 (2) 패권경쟁을 위한 공급라인 내재화, 그리고 (3) 친환경 생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필수 소재 및 부품을 중심으로 미국 내 생산수단 확충으로 귀결될 것이다. 신규 투자가 늘어남에 따라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 지속되어온 과소설비 현상은 완화..

Economy 2021.11.03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 우려, 원인과 전망

[머니 인사이트]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 우려, 원인과 전망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공급망 차질,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글로벌 기업들의 공급망 차질이 심화되고 있다. 미국 등 선진국들의 공급병목 현상은 심각한 상황이며, 에너지 전환 정책과 맞물리면서 일부 에너지 자원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공급망 차질은 대부분 팬데믹의 장기화에 따른 결과인데, 수요와 공급 양 측면에 모두 원인이 있다. 수요 측면에서의 원인은 대규모 보조금 지급으로 상품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델타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라 사람들이 집 안에 머물면서 재화소비는 급증했지만, 공장가동 제한으로 생산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면서 재고부족이 심화되었다..

기고 2021.11.02

2022년 주식시장 전망: '긴축 조정’ 이후와 겁 내지 않을 ‘중소형 성장주’

KB 2022년 주식시장 전망 ‘긴축 조정’ 이후와 겁 내지 않을 ‘중소형 성장주’ ▶ Full report: https://bit.ly/3jOsEDV ▶ 1p 요약: https://bit.ly/3Cx5ysJ 요약 1) 2022년 코스피 타깃 3,600pt 제시 - 22년 코스피 타깃을 3,600pt로 제시한다. 연말연초 연준의 테이퍼링 선언과 자산매입 축소가 시작되면 시장의 출렁임이 반복될 수 있다. 다만 연말연초를 지나면서 지금의 우려들은 바닥을 찍을 것이며, 내년 하반기엔 경기사이클도 반등을 준비할 것이다. - 21년은 긴축 조정이 진행됐는데, 기업이익은 당초 예상보다 훨씬 더 좋았지만 긴축 우려로 밸류에이션(P/E)가 급락하며 시장을 억눌렀다. 22년에는 반등 랠리를 전망한다. 과거 긴축 조정 이..

Global Equity 2021.11.01

2022년 미국주식 전망: 연초에는 짧게, 상반기 하락기에는 길게 잡아야 할 방망이

KB 2022년 미국주식 전망 연초에는 짧게, 상반기 하락기에는 길게 잡아야 할 방망이 ▶ https://bit.ly/3mEW0q9 - 2022년 말 S&P 500 5,240pt 전망 - 팬데믹 전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민주당 재정지출안, 공급망 문제 완화에 따른 판매 증가로 이익전망 상향 조정세 지속 - 중간선거 앞두고 정치 불확실성 커지고, 금융시스템 유동성이 감소하는 상반기에 연중 저점 기록할 것 - 중간선거 끝나면 정치 불확실성 해소. 주가 성과 좋은 임기 3년차 (2023년)를 바라보고 상반기 하락기부터 비중 확대 - 바이러스가 재확산되는지,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가 상승하는지를 꾸준히 관찰하며 가야 할 2022년 1) 2022년 말 S&P 500 5,240pt 전망: 22년 12개월 선행 EPS..

Global Equity 2021.10.29

2022년 채권시장 전망: 정상화로 가는 길, 경험해 본 경험

KB 2022년 채권시장 전망 정상화로 가는 길, 경험해 본 경험 ▶ https://bit.ly/3nse7im 요약 -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11월과 22년 1Q, 4Q 추가 인상으로 22년말 1.50%를 전망한다. 이번 인상 싸이클의 상단은 17~18년의 1.75%를 예상한다. 수급 꼬임 등을 감안하더라도 현재 국고3년 2%, 10년 2.4% 중반은 기준금리 인상을 4회 반영한 수준으로 과도하다. - 22년 채권금리는 하락할 전망이다. 중립 이하로 유지하던 한국 국채의 장기 투자선호도를 중립으로 상향했다. 저점은 국고3년 1.75%, 10년 2.15%로 장기물 분할 매수를 제시한다. 3Q말~4Q초에는 연준의 금리인상 가시화로 채권금리는 재차 상승할 것이다. 장단기금리차는 축소될 전망이다. - 한국경제는 ..

Bondstone 2021.10.28

The KB’s Core View: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 우려, 미 국채금리 상승과 가치주 강세

The KB's Core View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 우려, 미 국채금리 상승과 가치주 강세 ▶ https://bit.ly/3jFRDJv 요약 1)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 우려는 당분간 더 고조될 것이다. 에너지 가격 상승, 반도체 등 부품공급 부족, 해상/내륙운송 차질, 노동력 부족 하에서 연말 쇼핑시즌은 고비가 될 것이다. 2) 미 국채10년 금리는 1Q22 중 1.85%까지 상승할 것이다. 단기 선호도를 비중축소로 하향했다. 가치주의 상대적 강세를 예상한다. 반면, 한국 기준금리는 1년래 1.91% 수준을 반영하는 중이다. 장기 선호도를 중립으로 상향한다. 3) 공급망 차질 문제들은 대부분 팬데믹의 장기화에 따른 결과다.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고 이동제한이 풀리면 운송/생산 재개와 노동력 복귀가 예상..

Asset Allocation 2021.10.27

잘 구별해야 하는 장기와 단기 요인

Global Insights 잘 구별해야 하는 장기와 단기 요인 (10/21) 단기 요인이 증폭시킨 문제를 구조적 문제로 오해하면, 단기 요인들이 사라질 때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려움 다양한 영역에서 일시적인 단기 요인들과 구조적인 장기 요인들이 혼재. 장기 요인들이 일으키는 문제들이 있는 것은 맞지만, 단기 요인들 때문에 생긴 가수요와 투기수요로 문제가 심화된 것도 사실. 이 경우, 단기 요인과 장기 요인을 잘 구분하지 않으면, 모든 문제를 구조적인 문제로 여기게 되고, 문제가 장기화될 것이라고 오인할 수 있음. 자동차 반도체, 발전용 원자재, 고용 문제가 대표적인 예 1)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축이 이동하면서, 자동차 반도체 수요가 증가 내연기관차에 비해, 전기차를 생산할 때 더 많은 자동차 반도체가..

News&Issue 2021.10.26

공급망 차질의 원인과 정상화 전망

[Wealth Management] 공급망 (Supply Chain) 차질의 원인과 정상화 전망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 https://bit.ly/2Za4WL8 공급망 차질,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팬데믹 이후 글로벌 기업들의 공급망 (Supply Chain) 차질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미국 등 선진국들의 공급병목 현상은 심각한 상황이며, 에너지 전환 정책과 맞물리면서 일부 에너지 자원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공급망 차질은 대부분 팬데믹의 장기화에 따른 결과인데, 수요와 공급 양 측면에 모두 원인이 있다. 먼저 수요 측면에서는, 백신 접종 확대로 멈췄던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었지만 생산은 상대적으로 ..

기고 2021.10.22

2022년 미국주식 #3. 상반기부터 경험할 유동성 위축, 하지만 서두르지 않을 연준

2022년 미국주식 연간전망 #3. 상반기부터 경험할 유동성 위축, 하지만 서두르지 않을 연준 ▶ https://bit.ly/2Z20vlm 상방 배팅 어려운 통화완화 도구 회수기. 기준금리 인상 걱정은 유동성 축소 현실화로 전개될 것 통화완화 도구들이 거둬들여지면서 편치 않을 한 해가 될 것이다. 연준은 2021년 4분기에 시작한 테이퍼링을 2022년 상반기 내내 진행할 예정이다. 테이퍼링은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한 통화완화 정책을 되돌리는 작업이다. 과거에도 1~3차 양적완화가 종료되는 시기에 시장 변동성은 높아졌다. 유동성 확장에 익숙했던 금융시장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2022년 상반기 말로 갈수록, 기준금리 인상 시점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제기될 것이다. 그러나 기준금리 ..

Global Equity 2021.10.20

2022년 경제전망: Real Post Corona를 향한 마지막 진통

KB 2022년 매크로 전망 Real Post Corona를 향한 마지막 진통 ▶ https://bit.ly/2XemDZc 요약 1) 22년은 ‘Real’ Post Corona가 시작되는 한 해가 될 것이며, 4Q21~1Q22는 경제 정상화로 가는 마지막 진통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넘어야 하는 고비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다. 병목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탄소배출 감축이 에너지가격 상승, 중국 생산차질 등으로 이어지며 오히려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미국 CPI는 연말 6% 내외로 상승하고 중국의 4Q21 성장률은 3.8%로 낮아질 것이다. 1Q22까지 높은 물가와 성장 둔화가 예상되나, 이후에는 4가지 정상화가 글로벌 경제를 물가 하향안정과 회복 재개로 이끌 것이다. 2) ① 글로벌 백신접종률 상승과 겨울..

Economy 2021.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