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69

The KB’s Core View: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 우려, 미 국채금리 상승과 가치주 강세

The KB's Core View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 우려, 미 국채금리 상승과 가치주 강세 ▶ https://bit.ly/3jFRDJv 요약 1)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 우려는 당분간 더 고조될 것이다. 에너지 가격 상승, 반도체 등 부품공급 부족, 해상/내륙운송 차질, 노동력 부족 하에서 연말 쇼핑시즌은 고비가 될 것이다. 2) 미 국채10년 금리는 1Q22 중 1.85%까지 상승할 것이다. 단기 선호도를 비중축소로 하향했다. 가치주의 상대적 강세를 예상한다. 반면, 한국 기준금리는 1년래 1.91% 수준을 반영하는 중이다. 장기 선호도를 중립으로 상향한다. 3) 공급망 차질 문제들은 대부분 팬데믹의 장기화에 따른 결과다.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고 이동제한이 풀리면 운송/생산 재개와 노동력 복귀가 예상..

Asset Allocation 2021.10.27

잘 구별해야 하는 장기와 단기 요인

Global Insights 잘 구별해야 하는 장기와 단기 요인 (10/21) 단기 요인이 증폭시킨 문제를 구조적 문제로 오해하면, 단기 요인들이 사라질 때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려움 다양한 영역에서 일시적인 단기 요인들과 구조적인 장기 요인들이 혼재. 장기 요인들이 일으키는 문제들이 있는 것은 맞지만, 단기 요인들 때문에 생긴 가수요와 투기수요로 문제가 심화된 것도 사실. 이 경우, 단기 요인과 장기 요인을 잘 구분하지 않으면, 모든 문제를 구조적인 문제로 여기게 되고, 문제가 장기화될 것이라고 오인할 수 있음. 자동차 반도체, 발전용 원자재, 고용 문제가 대표적인 예 1)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축이 이동하면서, 자동차 반도체 수요가 증가 내연기관차에 비해, 전기차를 생산할 때 더 많은 자동차 반도체가..

News&Issue 2021.10.26

공급망 차질의 원인과 정상화 전망

[Wealth Management] 공급망 (Supply Chain) 차질의 원인과 정상화 전망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 https://bit.ly/2Za4WL8 공급망 차질,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팬데믹 이후 글로벌 기업들의 공급망 (Supply Chain) 차질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미국 등 선진국들의 공급병목 현상은 심각한 상황이며, 에너지 전환 정책과 맞물리면서 일부 에너지 자원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공급망 차질은 대부분 팬데믹의 장기화에 따른 결과인데, 수요와 공급 양 측면에 모두 원인이 있다. 먼저 수요 측면에서는, 백신 접종 확대로 멈췄던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었지만 생산은 상대적으로 ..

기고 2021.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