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의 고민과 중국의 진심을 엿보다! [글로벌 투자전략] 시장의 고민과 중국의 진심을 엿보다! Rebalancing Timing으로 4월 FOMC 이후를 주목 과거 몇년 동안 양적완화 공백기에 자산가격이 조정을 보였던 이유는 정부의 부양책이 없어도 경기가 개선되는 선순환고리가 형성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G4 중앙은행이 공급한 유동성은 글.. Asset Allocation 2012.03.24
캐피탈채: '여전'히 투자할만한 종목 찾기 [東部策略] 크레딧 - 캐피탈채: '여전'히 투자할만한 종목 찾기 저금리 기조 지속에 따라 고금리채권에 대한 신규 투자수요가 크게 늘었다. 최근에는 등급상향 또는 스프레드 축소 가능성이 높은 기업 보다는 만기보유를 전제로, 스프레드 축소여력이 크지 않더라도 부실화 가능성이 낮은.. Global Credit 2012.03.22
외국인의 국채선물과 IRS 숏 강도 점검 [Bond Flash] 외국인의 국채선물과 IRS 숏 강도 점검 빨라지는 국내 채권금리 상승, 박스권 상단에 대한 의구심 국내 채권금리의 상승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3월 이후 국고3년 금리 상승폭은 13bp에 불과하다. 그러나 국고3년 금리는 작년 11월~올해 2월까지 3.32~3.47%의 15bp 좁은 박스권에서 횡보.. Bondstone 2012.03.19
중앙은행들의 유동성과 인플레에 대한 시각 변화 [Dongbu Page] 채권 - 중앙은행들의 유동성과 인플레에 대한 시각 변화 Fixed Income Strategy 미국의 QE3 기대 약화로 글로벌 금리가 급등했다. 안전자산의 지위를 누렸던 미국, 독일, 영국, 북유럽, 호주 등의 금리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인플레 우려로 금리인하 기대가 약해진 아시아도 동반상승했.. Trading Idea·Strategy 2012.03.19
논란(論難)이 일 것이다! [글로벌 투자전략] 논란(論難)이 일 것이다! 미국 국채수익률과 Dollar Index에 따라 변동성 확대 전망 Fed의 추가 부양책을 낙관하던 글로벌 투자가는 3월 FOMC 이후 변동하는 美 국채수익률과 dollar index에 놀랐을 것이다. 미국의 국채는 안전자산의 대명사일뿐 아니라 금리 spread와 FX라는 연결.. Asset Allocation 2012.03.19
미국 국채비중 축소가 진행되고 있다! [글로벌 투자전략] 미국 국채비중 축소가 진행되고 있다! 주식, 원자재, 채권가격의 동반상승 현상은 점차 사라질 전망 금융위기 이후 양적완화를 도입한 버냉키의장은 QE1 종료시점에 QE2를, QE2 종료시점에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를 단행했고, 올해 6월말에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가 종료된.. Asset Allocation 2012.03.14
듀레이션 하향 조정 이유 지난주 [Bondstone] 금리 하락추세 마무리, 듀레이션 중립 이하로 하향 보고서가 나간 이후 숏뷰로 바뀐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 있었습니다. 보고서의 내용이 충실하지 못한 탓일겁니다.ㅠ 1) 경기와 물가에 대한 시각 선반영과 눈높이 변화 2Q12까지 중국 및 국내경제 둔화와 3Q12까지.. Trading Idea·Strategy 2012.03.12
기술적 금리 반락을 활용한 3년 영역 비중 축소 [Dongbu Page] 채권 - 기술적 금리 반락을 활용한 3년 영역 비중 축소 Fixed Income Strategy 국내 경기둔화와 물가안정에 대한 시각은 이미 상당부분 선반영되었다. 경제지표에 대한 민감도가 달라졌다.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소멸된 상태에서 신용스프레드마저 대폭 축소되면서 투자자별로 역.. Trading Idea·Strategy 2012.03.12
금리 하락추세 마무리, 듀레이션 중립 이하로 하향 듀레이션을 중립이하로 하향 조정합니다. 중국과 국내경제지표 둔화는 한분기 정도 더 진행되어 2Q12에 저점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CPI 상승률도 3Q12까지 안정될 것으로 봅니다. 따라서 다양한 불균형들이 존재하는 3~5월이 자산배분상 리벨런싱의 적절한 시점입니다. 여기에 국제.. Bondstone 2012.03.05
발 빠른 투자가는 인플레 헤지를 고민한다! [글로벌 투자전략] 발 빠른 투자가는 인플레 헤지를 고민한다! 성공적인 LTRO, ECB와 Fed의 추가 유동성 공급 가능성은 약화 1차와 2차 LTRO를 통해 총1조 유로가 넘는 유동성이 공급됐다. 이중 5,000억 유로 이상이 은행채 상환 및 유로존 국채매입 용도로 추정된다. LTRO는 Fed의 QE와 함께 신용경.. Asset Allocation 2012.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