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대차대조표 축소 (양적긴축, QT) 조기 종료 논의의 포인트
주말에는 미국정부의 셧다운 종료보다도, WSJ에 연준에 대한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습니다. Nick Timiraos 기자는 “연준이 대차대조표 축소 (양적긴축, QT)를 당초 예상보다 일찍 끝낼 수도 있으며, 금주 1월 FOMC의 중요한 의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시다시피 12월 19일 FOMC 당시 FOMC 당시 파월 연준의장은 “대차대조표 축소가 큰 문제를 일으키는 요소라고 보지 않는다, 대차대조표 축소의 자동항법 (automatic pilot) 경로를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매파적으로 언급하면서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1월 4일 파월 의장이 “대차대조표 축소가 금융시장 변동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만약 그것이 시장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연준이 판단한다면 그 계획을 바꿀 것”이라고 태도를 바꾸었습니다. 이어 발표된 1월 9일 12월 FOMC 의사록에서는 한발 더 나아가 매파적이었던 당시 파월과 달리, 대차대조표 축소 (양적긴축)를 일찍 끝내는 것에 대한 논의도 있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12월 FOMC에서 나타난 대차대조표 축소 조기 종료의 논점은,
1)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가 지속됨에 따라 최근 금융시장의 단기금리 상승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연준은 국채 Repo, 실효연방기금금리 (EFFR) 등 단기금리 상승 압력이 커진 이유가 지준 부족이 아니라 단기국채 (T-Bill) 발행 급증 때문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2) 그러나 지준 규모가 점차 감소 (지준부족)하고 은행들이 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단기금리의 변동성이 확대될 위험은 존재한다는 의견이 연준 내부에서 제기되었다.
3) 따라서 그 배경이 어떠하든지, 연준의 효과적인 통화정책 실행을 위해 EFFR 등 단기금리를 목표범위 내에서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초과지준부리 (IOER) 조정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4) 그 중에 눈에 띄는 것은, i) 연준 보유증권의 만기상환 속도 조절을 통해 지준이 감소하는 속도를 늦추는 방안, ii) 지준 규모가 큰 지금 보유증권의 만기상환을 종료한 후 유지하거나, 지준을 점진적으로 줄이되 여타 부채항목의 증가를 허용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 둘 다 대차대조표 축소를 멈추거나 속도조절을 하겠다는 뜻이지만, 연준 내부에서는 시장에서 이를 혹시 “통화정책 기조 변화”로 오해할 수 있음이 지적되었다.
5) 한편 또 한가지 주목할 만한 주장은, iii) 향후 경기침체가 왔을 때 대응여력을 확보하기 위해 보유자산의 평균만기를 단기화하고 (향후 경기하강 시 장기국채를 매입할 수 있도록 단기국채 보유 확대 주장), iv) 시장금리 상승으로 조기상환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지금처럼 수동적인 MBS 만기상환 방식을 유지한다면, 상당규모의 MBS를 계속 보유해야 할 수도 있으니 MBS를 점진적인 속도로 매각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WSJ에 따르면, 버냉키 전연준의장은 “연준의 대차대조표가 경제와 금융시장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결정하는 것은 지준이나 국채매입의 전체 크기가 아니라, 연준의 보유자산 만기와 리스크 프로파일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즉, 향후 연준 대차대조표 축소 (양전긴축, QT) 조기 종료 논의의 관전 포인트는,
1) 연준은 단기금리 상승 등에 따른 우려를 차단하기 위해 대차대조표 축소의 속도조절 또는 종기 종료를 검토했다. 경기둔화에 따른 통화정책 기조 차원은 아니었다.
2) 그러나 1월 초 파월의장은 “시장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판단한다면 계획을 바꿀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통화정책 기조 변화에 따른 대차대조표 축소 가능성도 내비쳤다.
3) 향후 FOMC에서 대차대조표 (연준 보유자산) 축소의 속도조절이나 조기 종료 등이 단행된다면 “통화정책 기조 변화”로 오해하지 않는 장치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4) 그 장치는 연준 보유자산의 평균만기를 단기화하는 것 (단기국채 보유 확대), MBS의 점진적 매각이 될 것이다. 이 장치들이 포함된다면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라기 보다는 단기금리 상승 우려를 차단하기 위한 “기술적 접근”이라고 판단하고 대응해야 한다.
이상입니다.
'News&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탄핵 관련 코멘트 (0) | 2019.09.25 |
---|---|
노딜 브렉시트 (Brexit)가 현실화된다면 (0) | 2019.09.11 |
이탈리아와 스페인, 정치불안과 향후 전망 (0) | 2018.05.31 |
3월 FOMC: 코드는 맞춘 파월, 그러나 해소되지 않은 불확실성 (0) | 2018.03.22 |
9월 FOMC: 매파적 서프라이즈, 커브 플래트너 유지 (0) | 2017.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