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38

주목 받는 장기 성장테마, AI와 반도체, 럭셔리

[Wealth Management] 주목 받는 장기 성장테마, AI와 반도체, 럭셔리 신동준 KB증권 WM투자전략본부장/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경제학박사 연준 등 주요 중앙은행들이 추가 기준금리 인상의 가능성을 아직 열어놓고 있지만, 5월 FOMC의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국과 한국의 가팔랐던 긴축사이클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이제 기준금리를 얼마나 더 올릴 것인가가 아니라 얼마나 오래 유지할 것인가의 이슈가 남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공급망 차질 등으로 크게 치솟았던 물가가 정점을 지나 안정화되고 있고, 통화정책은 추가 긴축 가속보다는 누적된 긴축 효과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살피면서 관망하는 모드로 전환되었다. 금융시장의 관심도 인플레이션보다는 경기흐름 쪽으로 ..

기고 2023.05.24

이제 시간은 혁신테크와 채권의 편

[Wealth Management] 이제 시간은 혁신테크와 채권의 편 신동준 KB증권 WM투자전략본부장/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경제학박사 글로벌 금융시장의 혼란이 빠르게 수습되고 있다. 공포감을 몰고왔던 미국과 유럽의 3월 은행 시스템 불안은 정부와 금융당국이 예금자 보호와 은행 유동성 공급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하면서 빠르게 진정되고 있다. 이제 금융시장의 관심은 물가에서 경기로 이동하는 중이다. 하반기 미국의 경기침체를 전망하는 기관들이 늘고 있지만, 불안의 벽을 타고 주가는 상승하고 있다. 4월 BofA-메릴린치가 조사한 글로벌 펀드매니저 서베이에 따르면, 주식 대비 채권 비중을 확대해 놓고 있다는 응답이 2009년 3월 이후 최고치에 달했다. 미국 주식 비중도 과거 평균보다 대폭 축소해두고 있..

기고 2023.04.24

은행 시스템 불안이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Wealth Management] 은행 시스템 불안이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신동준 KB증권 WM투자전략본부장/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경제학박사 강력한 불안 요인으로 떠오른 은행시스템 위험 은행시스템 불안이 새롭고 강력한 위험으로 떠오르며 전세계 자산시장을 흔들고 있다. 3월 BofA-메릴린치가 조사한 글로벌 펀드매니저 서베이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가장 큰 위험으로 시스템적 크레딧 이벤트(Systemic credit event)를 꼽았다. 인플레이션이 높게 유지될 위험을 꼽은 사람도 여전히 많았지만, 응답률이 압도적으로 많았던 2월과는 달리 응답률이 낮아졌다. 시스템적 크레딧 이벤트의 근원지로는 미국 그림자금융(응답률 34%)과 회사채(17%), 선진국 부동산(10%)이 꼽혔다. 지난 3월 10일..

기고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