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72

세계국채지수 (WGBI) 편입의 의미와 시사점

세계국채지수 (WGBI) 편입의 의미와 시사점 신동준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요약 FTSE 러셀은 한국 국채를 2025년 11월부터 세계국채지수 (WGBI)에 편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WGBI 추종 자금은 약 2.5~3.0조 달러로, 한국의 편입 비중 2.22%를 감안하면 예상되는 자금 유입 규모는 약 560~670억 달러 (약 75~9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WGBI 편입은 원화국채와 외환시장 수급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025년 국고채 순발행은 83.7조원으로 올해보다 68% 증가할 전망이다. 수급 불안에 시달리던 국채시장의 수급 개선과 금리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편입 배경이었던 ‘시장접근성’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면에서, WGBI 편입 자체의 효과보..

기고 2024.10.19

개인들의 폭발적인 채권투자, 반갑지만 주의해야 할 것들

[Wealth Management] 개인들의 폭발적인 채권투자, 반갑지만 주의해야 할 것들 신동준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KB증권 S&T부문 상무/ 경제학박사 요약 2012~2021년 10년 간 월 평균 2,600억원에 불과했던 개인투자자들의 장외채권 순매수 규모는 2022년 하반기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2년 동안 월 평균 3조 3,400억원으로 약 13배나 폭발적으로 급증했다. 개인투자자들의 채권투자 수요가 급증한 배경은 고금리 채권에 대한 만기 보유 수요, 자본차익을 노린 수요, 그리고 절세 수요다. 특히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의 리스트를 살펴보면 초장기물이면서도 표면금리가 낮은 ‘저쿠폰 채권’의 선호가 두드러진다. 그 결과 2019~2021년 당시 낮은 금리에 발행됐..

기고 2024.08.28

한국 증시의 밸류업 프로그램이 성공하기 위한 주요 과제들

한국 증시의 밸류업 프로그램이 성공하기 위한 주요 과제들 신동준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밸류업’,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2023년 말 기준 주요국 중 시가총액 13위, 상장기업 수 7위로 양적으로 대폭 성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장기업의 주가나 순자산가치가 수익성이 비슷한 다른 나라 기업들보다 낮게 평가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이 여전히 관찰되고 있다. 2014~2023년까지 10년간 국내 상장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 (BPS: Book value per share)로 나눈 주가순자산비율 (PBR: Price-to-Book Ratio)은 평균 1.04배로 선진국의 42%, 신흥국의 66%에 불과했다. PBR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은 기..

기고 202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