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dstone

8월 한차례의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

bondstone 2014. 7. 9. 09:35

안녕하십니까 하나대투 신동준입니다.


기준금리 전망을 수정했습니다. 7월은 동결, 8월에 한차례 인하하는 방향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기준금리 전망이 달라졌다고 해서 시장전망(국고3년, 10년 금리수준이나 방향성에 대한 전망)이 달라진 것은 없습니다. 매크로 환경 변화에 의한 기준금리 전망 수정이 아니라, 당국의 경기활성화 의지 피력을 위한 상징적 의미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현실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느 사설에서 본 듯 합니다. 대한민국은 재경부장관만 바뀌면 기준금리 인하 이야기부터 나온다는데요..


국고3년과 10년 금리는 3분기말까지는 반등이 지연되겠지만, 4분기부터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논쟁과 국내 M&A나 구조조정 스케쥴에 따른 자금수요 유발로 연말까지는 소폭 상승한다는 전망과 투자전략은 그대로 유지합니다.


관건은 두번도 가능할 것인가 입니다만, 한차례에 그칠 것으로 생각합니다. 당국은 두번째 인하까지도 원할 수 있겠지만, 시기적으로 4분기에는 연준의 조기 금리인상 스케쥴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또 하나는 작년 5월처럼 기준금리 인하를 하면 추가 인하 기대가 별로 없기 때문에 시장금리는 반등하지 않겠는가에 대한 질문입니다. 컨센서스대로 일단은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그러나 당국의 경기활성화 의지가 저렇게 강한 상황인데다 경제부총리 취임 한달쯤 되는 8월 금통위를 전후해서는 업무파악이 끝나고 여러가지 정책들이 가시화되는 분위기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장의 기대도 금새 추가 인하도 가능하다는 쪽으로 모여 질 수 있다고 봅니다. 결국 3분기까지 혹은 연준의 조기 금리인상 이야기가 공론화되기 전까지 채권금리는 낮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번 이상의 강한 인하가 필요할 만큼 매크로 환경이 나쁘지도 않거니와, 금리인하로 외국인 채권투자 자금 유입을 막아내는 것은 더더욱 불가능합니다. 정기예금 대비 캐리가 나오지 않는 국고3년 2.65% 이하에서는 듀레이션을 더 늘려서 대응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금리인하나 실망에 대한 베팅보다는 듀레이션 중립과 바벨포트폴리오로 일단 대응하시되 그 이후에 논리적인 시장 흐름 예상이 가능할 때 다시 포지션을 잡아 가는 게 맞다고 봅니다.


이상입니다.



[Bondstone] 8월 한차례의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

http://goo.gl/qaCJqk


당국의 경기활성화 의지 피력, 기준금리 인하는 8월 한차례

8월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한다. 당위론적으로 기준금리 인하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무엇보다 당국이 새로운 경제팀의 구성과 함께 강력한 경기활성화 의지를 피력하기를 원한다는 차원에서 상징적인 인하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높아졌다. 7월에는 성장률 하향 조정 등을 통해 한국은행에 명분을 제공하고 8월에 인하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한다. 시기적으로 4분기에는 연준의 조기 금리인상 스케쥴이 거론될 가능성이 높다. 기준금리 인하는 한차례에 그칠 것이다. 국고3년 2.65% 이하에서는 정기예금 대비 채권의 초과수익 매력도가 낮다. 채권 본연의 이자수익보다는 자본차익에만 의존하는 구간이다. 한차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감안하여 듀레이션 중립 하에서 1.5년 이하와 7년 이상의 바벨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대응할 것을 권고한다.


외국인의 원화채권 투자, 금리인하로 방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환율방어를 위한 금리인하 논쟁의 배경은 선진국보다 국내금리가 높기 때문이다. 우량등급 채권만을 매수해야 하는 해외중앙은행에게 AA등급 대비 150bp의 금리를 더 주는 원화국채10년은 분명 매력적이다. 그러나 금리는 신용등급이 아닌 명목성장률의 함수다. 명목성장률이 4~5%대인 우리나라 금리가 명목성장률 3.0%인 AA등급 이상 국가들(기준금리 평균 0.69%, 국채10년 2.04%)과 같이 낮아질 수는 없다. 우리나라의 금리와 명목성장률은 아직 A등급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국가신용등급만 AA등급으로 상향되면서 발생한 문제다. 외국인 채권자금 유입은 금리보다는 자본유출입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140709_신동준_Bondstone.pdf




140709_신동준_Bondstone.pdf
1.5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