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긴급 점검
무역분쟁의 부정적 여파는 1Q19에 극대화될 것, 현금비중 확대
미중 무역분쟁의 부정적 여파는 2018년 말부터 2019년 1분기에 집중될 것
-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부과한 현재의 관세규모 (총 2,500억 달러)와 관세율 (2019년 1월부터 25%)만 고려하더라도 2019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6%를 지키기 어려울 것. 2019년 1분기부터는 중국의 대미 수출증가율도 전년대비 두 자릿수에서 마이너스로 급락 예상
- 시차를 고려할 때 해외매출 비중이 높은 미국기업들의 실적 우려와 달러강세에 따른 미국경제의 부정적 영향도 같은 시기에 나타날 가능성 (반도체, IT섹터의 해외매출 비중은 각각 약 80%, 50%)
- 2019년 1분기에는 대미 자동차 수출국들의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25% 관세도 예고
- 뉴욕 현지의 글로벌 IB들은 미중 무역분쟁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 둔감. 아직 경제지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있고, 아직 품목별 구체적인 영향을 측정하기 어렵다는 점, 그리고 감세효과로 상쇄되기 때문에 영향이 반영되더라도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인식. 반면 공통적으로 지적한 것은 ‘소비재까지 관세가 부과된다면’ 영향이 클 것이라고 전망
미중 무역분쟁은 대중국 고립전략으로 한 단계 격화
- 미국은 2017년 말 국가안보전략 (NSS)에 이어 2018년 초 연두교서에서도 중국을 ‘미국의 안보와 번영을 잠식하기 위해 미국의 힘과 영향력 및 이익에 도전하는 경쟁자’로 규정
- 최근 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은 미국/캐나다/멕시코의 NAFTA 2.0 협정 (USMCA)에 중국을 고립시키기 위한 조항을 삽입했으며, 다른 나라의 통상협정에도 도입할 수 있음을 시사
- ‘스파이칩’ 이슈를 계기로 미중 무역분쟁은 한 단계 더 격화되는 양상. 보도의 사실 여부보다는 미국 첨단기술기업이 정보유출의 위험이 있는 중국부품을 사용하거나, 고객기반이 미국기업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중국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을 경우 ‘미국의 국가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프레임이 짜여졌다는 것이 중요
- 미국의 우방국들인 한국, 일본 등의 반도체나 IT기업들의 반사이익이 일부 기대되나, 기본적으로 IT기업들의 기존 비즈니스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진 만큼 피해보다 반사이익이 더 크기는 어려울 것. 위안화 환율 안정과 미중 협상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11월 말 G20 정상회담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던 신흥아시아의 반등 기회도 소멸
한국과 중국기업의 변화
- 향후 중국이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기 시작할 경우, 당국의 보호 아래 독점적으로 성장하던 중국기업의 성장환경이 구조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중국 대형주를 중심으로 반영되는 중. 대중국 수출비중이 높은 신흥아시아의 기업이익 전망도 여전히 하향 중. 신흥아시아의 통화약세가 이익전망을 높일 정도로 충분치 않다는 의미
미국증시는 추세하락 전환보다는 ‘조정’에 무게
- 최근 미국증시 급락은 비용 증가에 따른 마진 압박 우려. 1) 미중 관세에 따른 비용 부담, 2)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부담, 3) 임금상승률 증가에 따른 노동비용 증가, 4) 유가상승에 따른 원자재 가격 부담이 높아진 때문. 5) 더구나 ‘스파이칩’ 이슈를 계기로 미중 무역분쟁이 한 단계 더 격화되면서 그동안 시장을 이끌어 왔던 IT주의 주도력 약화
- 감세 등 재정부양 정책의 영향으로 미국경제의 정점은 2018년 4분기에 형성될 것. 그러나 잠재성장 위에서의 완만한 성장추세는 적어도 2020년 1분기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 경기정점 부근에서 나타나는 과잉대출, 부채, 투자, 소비, 재고 등이 아직 관찰되지 않음. 미국경제와 주식시장의 중장기 상승추세는 유효
-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주식은 단기적으로 조정흐름 예상. 경기정점 우려에다 비용증가에 따른 기업의 마진 압박이 더해지면서 특히 IT주의 주도력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 미중 무역분쟁의 여파가 경제와 기업이익 전망에 반영되기 시작하면 2019년 S&P500의 주당순이익 증가율 전망은 한 자릿수로 낮아질 가능성
- S&P500 (현재 2,658pt)을 기준으로 역사적 고점 대비 15% 하락 시 2,500pt, 20% 하락 시 2,350pt. 경기확장 사이클이 끝나지 않는 이상 15%를 넘는 조정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 파월이 기준금리 인상 속도조절의 판단 근거로 1) 크고 지속적인 금융시장 조정과 2) 연준의 전망과 다른 경기둔화를 들었다는 측면에서 15% 이상의 조정 부근에서는 금리인상 속도 조절 등 연준의 개입이 나타날 가능성. 15~20% 조정 수준에서는 주식 비중 확대가 바람직
2019년 연준은 금리인상 속도조절에 나설 것으로 예상
- 연준의 의도는 경제가 좋더라도 인플레가 확인될 때까지 기준금리를 ‘조심스럽게 천천히’ 올려 경기확장국면을 장기화하겠다는 것. 보일 듯 하던 금리인상의 끝이 희미해지면서 장기금리가 한 단계 레벨 업 되었지만, 경기확장국면 장기화가 반영되고 있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
- 무역분쟁의 부정적 여파가 2019년 1분기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고, 수요측면에서 미국의 인플레 압력도 높지 않기 때문에 2019년 신임 연준위원들의 합류와 함께 연준의 점도표는 하향될 것. 연준의 금리인상은 2019년 말 3.0%까지 완만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
한미 금리차 확대, 당분간 외국인 채권자금 이탈 가능성 낮지만, 장기자금 동향에는 유의
- 한국은행은 11월 금리인상 이후 2019년 동결 예상 (1.75%). 2019년 말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125bp에 달해 역사적 최대치로 확대될 것. 그러나 외국인의 입장에서는 한미 금리차가 역전되었지만, 그보다 더 큰 폭의 환헤지 프리미엄 수취가 가능해 최근 외국인 채권투자는 오히려 급증
- 현재 기준금리 역전폭은 75bp (한국 1.50%, 미국 2.25%)지만, 2년~30년 국채금리 역전폭은 87~93bp 수준. 2006년 7~8월 기준금리 격차가 100bp 역전되었을 당시에도 역전되지 않았던 장기금리의 역전폭이 100bp 육박. 원화 장기채권에 대한 외국인들의 시각 변화 시사
- 한미 금리 역전폭이 확대될 때, 즉 국내의 펀더멘털이 부진할 때 국내 수입수요는 더 빠르게 감소하면서 우리나라는 불황형 경상수지 흑자가 증가하는 구조. 국가신용 측면에서 안정성이 강화되면서 더구나 환 헤지 프리미엄까지 수취할 수 있어 외국인 장기채권 자금은 오히려 더 유입
- 따라서 향후 1) 단기자금은 환헤지 프리미엄이 오히려 축소되는 시점, 즉 향후 한미 금리격차 역전폭이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 이탈 가능성. 그러나 단기 재정거래 자금 이탈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 위험이 크지 않음. 반면 2) 장기자금은 한국의 장기 펀더멘털과 신용위험에 대한 부정적 영향 확대 시 이탈할 것. 당분간 리스크가 높지 않지만, 작은 규모의 이탈에도 국내 금융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는 만큼 이들의 동향은 주시할 필요
'Trading Idea·Strate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G20 미중 정상회담 코멘트: 달라진 것이 없다 (0) | 2018.12.03 |
---|---|
뉴욕탐방기: 금융시장에 아직 반영되지 않은 두 가지 (0) | 2018.11.01 |
[매크로전략] 커브 평탄화 논쟁: 평탄화는 계속될 것 (0) | 2017.11.21 |
[매크로전략] US 하이일드 모멘텀 약화 (0) | 2017.09.12 |
[매크로전략] 북핵 리스크 헤지: 한미 스프레드 확대 진입(USD/KRW 매수) (0) | 2017.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