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71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 위험 점검 및 대응전략

[WM INSIGHT]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 위험 점검 및 대응전략 Ⅰ. 금융시장 현황  구조적 인플레이션과 고금리의 장기화에 따른 미국 경기침체 및 증시에 대한 우려 확대 - 고물가, 고금리, 고유가, 강달러 속 장단기 금리 역전 장기화 등 경기 침체 가능성 점증  미국 장기금리 급등의 영향으로 국내 채권투자자들의 평가손실도 증가 - 미 국채10년 금리 4.80%까지 상승 (10.9기준). 올해 상승분 +93bp는 모두 7월 FOMC 이후 발생한 것으로, 2020년 8월 역사적 저점 (0.51%) 대비 +429bp 상승 (미국채권지수 기준 -18.4%) - 국내 국고채10년 금리도 7월FOMC 이후 4.24%까지 +59bp 상승. 올해 국내 초장기채 투자자들의 평균손실률은 20년, 30년물..

Asset Allocation 2023.10.18

고금리/고물가/고성장, 2020년대 뉴노멀 (New Normal)의 시대

고금리/고물가/고성장, 2020년대 뉴노멀 (New Normal)의 시대 신동준 KB증권 WM투자전략본부장/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경제학박사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하 ‘연준’)는 통화신용정책을 결정하는 9월 FOMC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22년 만에 최고 수준인 기준금리를 현재 5.25~5.50%에서 연내 추가로 더 인상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2022년 3월부터 약 1년 4개월 동안 5.25%포인트를 인상하는 강력한 통화긴축을 단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와 노동시장은 견조하다. 미국의 OECD 경기선행지수는 2023년 봄을 저점으로 오히려 반등하고 있고, 파월 연준의장은 2023년 7월 말 FOMC에서 “우리는 더 이상 경기침체를 예상하지 않는다”며 그동안의 경기침체 전망을 철회했다. 경기침..

기고 2023.09.25

인도와 베트남, 탈중국 생산거점의 대표 수혜국

[Wealth Management] 인도와 베트남, 탈중국 생산거점의 대표 수혜국 신동준 KB증권 WM투자전략본부장/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경제학박사 중국을 대체할 아시아 공급망, ‘알타시아 (Altasia)’ 1987년, 당시 세계 최대 가전업체 중 하나였던 파나소닉 (Panasonic)이 중국에 첫 합작 TV 브라운관 공장을 설립하며 세계를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후 일본을 비롯한 대형 가전업체들이 앞다퉈 중국의 풍부하고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기 위해 중국에 진출했고, 36년이 지난 지금 중국은 세계 가전산업의 핵심 국가로 성장했다. 2021년 중국의 전자제품 및 부품 수출은 1조 달러로 전세계 수출액의 약 1/3에 달한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제조업체들은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추세다. 중국의 노동..

기고 2023.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