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뤄진 양적완화 축소와 신흥국채권 투자전략
No Tapering, 아무런 결정도, 기준도 제시되지 않았다
연준(Fed)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규모는 3.7조달러에 달한다. 그 중에서 채권만 3.4조달러다. 전세계에서 미국국채의 최대 투자자인 중국이 보유한 규모가 1.2조달러라는 점을 감안하면, 무려 3배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규모다. 아직도 연준은 매월 850억달러씩의 채권을 매입하며 돈을 푸는 중이다. 이렇게 막대한 유동성 공급에도 불구하고, 다행히도 아직은 인플레 조짐이 별로 없다. 그러나 최악의 금융위기를 겪었던 미국경제가 서서히 정상화 과정에 진입하면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급기야 지난 5월1일 FOMC에서 버냉키 연준의장은 처음으로, “자산매입 규모를 늘릴 수도, 줄일 수도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 날 이후 10년만기 미국 국채금리는 1.30%p가 넘게 폭등했고, 달러는 강세를 보였으며, 특히 신흥국은 통화, 주식, 채권가격 급락으로 위기설을 겪기도 했다. 글로벌리츠는 무려 14%가 폭락했다. 전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그랬기에, 전세계 투자자들은 9월 FOMC를 주목했다. 시장은 양적완화 규모 축소(Tapering)를 기정사실화하며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연준은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았다. 더불어 성장률과 물가 등 정해진 숫자(매직넘버)는 없다고 언급함으로써 향후 Tapering에 대한 기준도 제시하지 않았다. 1) 정부부채 한도 협상 등 정치적 리스크를 앞두고 있는데다, 2) 모기지 금리상승 등 긴축적 금융환경이 경제성장을 저해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Tapering을 위해서는 확실한 경기개선 징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 밖에, 3) 유력한 차기
9월 FOMC의 시사점, 달러약세와
그러나 몇가지는 분명해졌다.
첫째, 향후 진행될 Tapering은 경기회복을 저해할 정도는 아닐 것이다. FOMC는 Tapering이 기계적이지 않으며, 유연성을 발휘함으로써 경기를 조심스럽게 다룰 것임을 시사했다. 정책적 불확실성은 커졌지만, 경기회복의 지속성이 훼손될 위험은 오히려 작아졌다. 자산전략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선진국, 특히 주식시장 흐름은 긍정적일 것이다.
둘째, 완만한 Tapering이라면,
셋째, 달러약세가 동반될 것이다. 이미 시장은 내년 하반기의 조기 금리인상 우려까지도 반영했던 경험이 있다. 달러강세가 다시 나타나려면, 이전보다 강한 Tapering 스케쥴이 제시되어야 한다. 경기판단에 신중한 연준과 정치일정 등을 고려할 때 연내 달러강세가 재개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이제 Tapering 시점이 언제인가는 중요하지 않다. 결국 어떤 강도로 진행될 지에 대한 판단이 중요하다. 만약 9월 FOMC에서 시장의 예상대로 약 100억달러 수준의 Tapering이 단행되었더라도 달러는 약세로 전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9월 FOMC 직후 달러인덱스는 2년5개월 만에 장기 상승추세를 하향이탈했다.
4Q13 글로벌 자산전략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여전히 경기회복의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는 선진국, 특히 주식시장이 매력적이다. 9월 FOMC를 통하여 향후 경기회복을 저해하지 않는 Tapering이 진행될 것임을 확인했다. 시장은 14년 하반기의 금리인상까지도 선반영한 경험이 있다. 단기적으로 4Q13 중에는 달러약세와 함께, Tapering 우려로 과도하게 가격이 하락했던 자산군의 숏커버와 반등을 예상한다.
4Q13 중 글로벌 자산시장은 선진국 대비
국내 주식시장의 상승흐름은 이어지겠지만, 취약한
신흥국채권펀드와 하이일드펀드 투자전략
작년 하반기 이후 전세계적으로 신흥국채권과 하이일드펀드에 집중적으로 자금이 몰렸다. 그러나 5월 이후 성과는 상당히 부진하다. 채권투자의 기본은 이자다. 그러나 이자가 워낙 낮다보니 투자자들은 채권도 주식처럼 자본차익을 목적으로 투자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30년 국채와 브라질채권이 대표적인 사례다. 채권을 예금이 아닌 주식의 대체재로 생각했기 때문에, 단기간에 자본차익이 발생하면 주식 등 다른 투자대상으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많았다. 그러나 매년 정해진 이자를 받고, 이런 이자가 쌓이며 가격변동성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채권의 최대 매력이다. 그런 관점에서 채권펀드에 가장 좋은 환경은 금리가 하락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완만하게 금리가 상승하는 것이다. 더 높은 이자가 나오는 채권이 끊임없이 펀드에 교체되서 들어오기 때문에 완만한 금리상승의 자본손실을 메우고도 남기 때문이다.
신흥국채권은 선진국채권에 비해 평균 약 4%p의 이자를 더 준다. 하이일드는 거기에 이자가 더 가산된다. 물론 가격변동성은 후자로 갈수록 더 크다. 결국 신흥국채권과 하이일드의 성과는 시간이 누적되면서 이자가 쌓일 때 빛을 발한다. 다행히 지금까지와 달리 4Q13은 이들의 수익률 회복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투자목적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자본차익 목적의 투자자였다면 적절한 시점을 활용하여 환매하되, 변동성을 다소 감내하더라도 장기적으로 국내 은행예금 금리보다 1~2%p 높은 예금의 대체재라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은 계속 보유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이다.
2013.9.26
하나 Glod Club
'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템플턴이 한국 투자 늘리는 까닭 (0) | 2013.10.25 |
---|---|
충격 큰 신흥국 자산, 다시 튀어 오른다 (0) | 2013.10.24 |
연준의 출구전략을 고려한 장기적인 자산선택 (0) | 2013.08.08 |
정책 모멘텀의 관점에서 금융시장 바라보기 (0) | 2013.04.13 |
9부 능선을 넘고 있는 글로벌 채권시장 (0) | 201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