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레이더] 세자릿수 환율 전망이 성급한 이유
달러 약세가 투자자들을 당황케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국가의 경제가 좋아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준이 되면 그 나라로 자금이 몰리면서 통화가치와 시장금리는 상승한다. 그러나 현재 교과서적인 상식과 반대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부터 미국 경제 회복이 본격화되고 기준금리를 인상한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면서 미국으로의 자금 유입이 활발히 진행됐다. 그러나 작년 6월 벤 버냉키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처음으로 출구전략을 언급해 금융시장에 충격을 안겨준 이후 달러 가치는 오히려 6% 가까이 하락했다. 미국 국채 10년 금리도 0.3%포인트나 하락했다. 시장 컨센서스와는 완전히 다른 결과다.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금융시장은 기대를 미리 반영해 나간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달러 강세에 대한 기대는 작년 6월 `버냉키 쇼크` 이후 집중적으로 시장에 반영됐다. 전 세계 모든 투자자와 언론들이 달러 강세와 금리 상승을 내다봤기 때문이다. 분산돼서 들어와야 할 달러 매수 자금이 일찌감치 이때부터 앞당겨 유입됐다.
이미 시장은 연방준비제도가 2012년 9월 무제한 국채 매입에 나섰던 3차 양적완화(QE3) 이후부터 움직이기 시작했다. 즉 QE3 이후부터 작년 버냉키 쇼크까지 달러 가치는 7.3%나 올랐고, 미국 국채 10년 금리는 1.48%포인트가 폭등했다. 과거에도 QE1~QE3가 시작되면 달러 가치가 오르고 종료되면 달러 가치는 오히려 하락하는 양상이 반복됐다. 기대가 미리 반영된 결과다.
최근 달러의 비상업적 순매수 포지션이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까지 감소했다. 버냉키 쇼크 당시 달러 매수 포지션을 집중적으로 쌓아둔 투자자들이 지쳐가고 있다는 의미다. 달러 약세 역시 단기적으로는 마무리 국면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다.
원ㆍ달러 환율이 1000원 이하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는 외국계 투자은행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경상수지 흑자 등에 따른 원화 강세는 지난 3~4년 내내 지속됐던 것으로 새삼스럽게 원화 가치가 더 높아질 이유는 없다.오히려 최근 원ㆍ달러 환율 하락은 달러 매수 청산, 그리고 작년부터 쌓였던 외국인의 일본 주식 매수-한국 주식 매도 포지션이 청산되면서 일시적으로 심화된 측면이 강하다. 달러 약세가 마무리되고 있고 원화의 저평가 강도도 예전만큼 크지 않다. 단기적으로 세 자릿수 환율에 대한 기대는 아직 성급하다.
[신동준 하나대투증권 자산분석부 이사]
2014.4.23
매일경제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636729
아래는 원문
[마켓레이더] 금리를 올린다는데 달러는 왜 약세일까?
달러약세가 투자자들을 당황케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국가의 경제가 좋아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정도가 되면, 그 나라로 자금이 몰리면서 통화가치는 상승하고 시장금리는 상승한다는 것이 교과서적인 상식이다.
작년부터 미국경제는 가장 좋았고, 기준금리를 인상한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으며, 미국으로 자금유입도 활발했다. 그러나 작년 6월 버냉키 전 연방준비제도의장이 처음으로 출구전략을 언급하며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었던 ‘버냉키 쇼크’ 이후 달러가치는 6% 가까이 하락했다. 미국 국채10년 금리도 0.3%p나 하락했다. 컨센서스와는 완전히 다른 결과다.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금융시장은 늘 기대를 선반영해 나간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보자. 달러강세 기대는 작년 6월 ‘버냉키 쇼크’ 이후 집중적으로 반영되었다. 전세계 모든 투자자들과 언론들이 달러강세와 금리상승을 이야기했기 때문이다. 분산 유입되어야 할 달러매수 자금들이 이 때부터 앞당겨 유입되었다. 우리나라도 수출업체들이 환전을 미루면서 외화예금 잔액이 330억달러에서 수개월 만에 520억달러까지 급증했다.
그러나 이미 시장은 연방준비제도가 12년 9월 무제한 국채매입에 나섰던 QE3 이후부터 움직인 뒤였다. 즉 QE3 이후부터 작년 버냉키 쇼크까지 달러가치는 7.3%나 올랐고, 미국 국채10년 금리는 1.48%p가 폭등했다. 그러고 보니 과거에도 QE1~QE3가 시작되면 달러가치는 올랐고, 종료되면 달러가치는 오히려 하락했다. 기대가 앞서 반영된 결과다.
최근 달러의 비상업적 순매수 포지션이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까지 감소했다. 버냉키 쇼크 당시 달러매수 포지션을 집중적으로 쌓았던 투자자들이 지쳐가고 있다는 의미다. 달러약세 역시 단기적으로는 마무리 국면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다.
원/달러 환율이 1,000원 이하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는 외국계 투자은행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경상수지 흑자 등 원화강세는 지난 3~4년 내내 작용하던 논리다. 오히려 최근 원/달러 환율 하락은 달러매수의 청산, 그리고 작년부터 쌓였던 외국인의 일본주식 매수-한국주식 매도 포지션이 청산되면서 일시적으로 심화된 측면이 강하다. 단기적으로는 달러약세가 마무리되고 있고, 원화의 저평가폭도 예전만큼 크지 않다. 장기적으로는 가능하더라도, 단기적으로 세자릿수 환율에 대한 기대는 아직 성급하다.
'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진국과 신흥국 간 갭 메우기는 일단락 (0) | 2014.04.25 |
---|---|
2년 전 여름 한국에는 무슨 일이? (0) | 2014.04.23 |
신흥국으로 눈을 돌려야하는 이유 (0) | 2014.04.10 |
선진국 주식 잔치는 끝났다? (0) | 2014.04.03 |
금리상승 기대하기 이른 이유 (0) | 201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