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312

Post-코로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전문가 칼럼] Post-코로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경제학박사 요약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과 미국의 집권당 교체는 향후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중대한 변화 (THE GREAT SHIFT)’를 시사한다. 자금의 공급자가 민간에서 정부 (중앙은행)으로 이동하면서, 공공성과 친환경이 강조되는 ESG (환경/사회/지배구조)는 메가트렌드가 될 것이다. 경제성장 동력은 노동/자본에서 ‘기술혁신’으로 이동할 것이며, 소수 대형기술주와 플랫폼 기업, 미국에 집중되었던 투자는 플랫폼을 이용해서 사업하는 성장주 (BIG: Bio/Information/Green Tech)와 중국, 한국 등의 포트폴리오로 다변화되어야 한다. 제로금리의 장기화 전망에 따라 인..

기고 2021.01.12

불확실성 속에서도 가장 매력적인 한국 주식

[머니인사이트] 불확실성 속에서도 가장 매력적인 한국 주식 2021년 상반기 공급 차질 위험이 예상치 못한 인플레로 이어질 가능성에는 유의해야 [한경비즈니스 칼럼=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경제학 박사)] 미국의 대표 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한국의 코스피지수가 2020년 12월에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고평가 논란이 한창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재확산과 경제 봉쇄 우려,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와 백신의 유효성 논란, 미국의 추가 재정 부양책 협상 지연과 2021년 1월 5일 조지아 주의 연방 상원의원 선거에 따른 불확실성 등 기술적인 단기 조정 위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식 비중 확대와 채권 비중 축소 전략을 여전히 유지..

기고 2020.12.30

[2021 맞으며] 글로벌 증시: 포스트 코로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글로벌 증시: 포스트 코로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과 미국의 집권당 교체는 향후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큰 변화 (THE GREAT SHIFT)’를 시사한다. 자금의 공급자가 민간에서 정부 (중앙은행)으로 이동하면서, 공공성과 친환경이 강조되는 ESG (환경/사회/지배구조)는 메가트렌드가 될 것이다. 경제의 성장동력이 노동/자본에서 ‘기술혁신’으로 이동하면서 소수 대형기술주와 미국에 대한 집중 투자는 다변화된 성장주 (BIG: Bio/Information/Green Tech)와 중국, 한국 등의 포트폴리오로 전환되어야 한다. 제로금리의 장기화 전망에 따라 인컴 수익과 함께 자산배분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

기고 2020.12.18

한국증시, 밸류에이션 재평가 구간 진입 가능성

[Wealth Management] 한국증시, 밸류에이션 재평가 구간 진입 가능성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주식비중 확대와 채권비중 축소 전략을 유지한다. KOSPI의 사상 최고치 경신에 따른 고평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한국주식의 투자매력도는 여전히 가장 높다. 기업이익 증가와 달러약세로 한국주식의 밸류에이션은 재평가되는 구간에 진입했다는 판단이다. 12개월 선행 P/E가 13배로 높지만, 5%대의 ROE는 여전히 상향될 여지가 높다. 달러/원 환율은 2021년 상반기 중 1,060원까지 하락할 것이다. 다만 2021년 1분기 중반~2분기 중반까지는 생산과 원자재, 서비스 등 세 가지 공급차질 위험이 예상치 못한 인플레와 금리 반등으로 이어질 위험에 주의해야 ..

기고 2020.12.18

Post-코로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2020.12.4 한경비즈니스 아래는 원문 [머니인사이트] Post-코로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과 미국의 집권당 교체는 향후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큰 변화 (THE GREAT SHIFT)’를 시사한다. 자금의 공급자가 민간에서 정부 (중앙은행)으로 이동하면서, 공공성과 친환경이 강조되는 ESG (환경/사회/지배구조)는 메가트렌드가 될 것이다. 경제의 성장동력이 노동/자본에서 ‘기술혁신’으로 이동하면서 소수 대형기술주와 미국에 대한 집중 투자는 다변화된 성장주 (BIG: Bio/Information/Green Tech)와 중국, 한국 등의 포트폴리오로 전환되어야 한다. 제로금리의 장기화 전망에 따라 인..

기고 2020.12.04

[Premier Summit] 2021년 주식시장 전망: Post 코로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KB증권 Premier Summit Post 코로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_2021년 주식시장 전망 이 영상은 CEO및 CFO등 VIP고객님들을 대상으로 지난 11월 11일 진행된 [2020 KB증권 Premier Summit]행사의 녹화영상이며 고객님들께 투자에 대한 참고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관련부분만 편집하여 제공되는 영상입니다. 시청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youtu.be/eLAajpcBV-c ▶ youtu.be/0tT8yMRNkUo

기고 2020.11.30

Post-코로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Wealth Management] Post-코로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과 미국의 집권당 교체는 향후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큰 변화 (THE GREAT SHIFT)’를 시사한다. 자금의 공급자가 민간에서 정부 (중앙은행)으로 이동하면서, 공공성과 친환경이 강조되는 ESG (환경/사회/지배구조)는 메가트렌드가 될 것이다. 경제의 성장동력이 노동/자본에서 ‘기술혁신’으로 이동하면서 소수 대형기술주와 미국에 대한 집중 투자는 다변화된 성장주 (BIG: Bio/Information/Green Tech)와 중국, 한국 등의 포트폴리오로 전환되어야 한다. 코로나19 팬데믹의 깊은 영향과 미국의 집권당 교체는 글..

기고 2020.11.23

미국 대선 이후 예상되는 세 가지 변화와 시사점

[똑똑투자] 미국 대선 이후 예상되는 세 가지 변화와 시사점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바이든 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당선이 사실상 확정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결과에 불복을 시사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트럼프 대선 캠프에서 제기한 개표 중단 소송은 모두 기각되었다.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비교적 큰 표 차이로 당선이 확정된 만큼 금융시장에 미치는 혼란은 제한적일 것이다. 미국 대선에 따른 불확실성이 완화되며 주식시장은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양원의 권력이 분할되었을 때 주가상승률이 더 양호한 경우가 많았다는 사실도 긍정적인 측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내년 상반기에는 백신이 개발될 것이라는 기..

기고 2020.11.09

美대선 후 예상되는 3가지 변화

[신동준의 전술적 자산배분] 美대선 후 예상되는 3가지 변화 ▶ [신동준의 전술적 자산배분] 바로가기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는 11월 미국 대선 이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교착상태에 빠진 추가 재정부양 합의와 우편투표 불복 가능성, 코로나19 재확산 등 때문이다. 특히 우편투표를 둘러싼 불확실성은 짧게는 1주일, 길게는 3주 가량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여론조사와 선거인단 확보 전망은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앞서 있고, 양원을 모두 민주당이 가져갈 확률도 크다. 유럽과 미국의 코로나19 재확산 속도가 가팔라지고 있지만, 지난 봄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격은 덜한 편이다. 누가 당선되더라도 재정부양책은 합의될 것이며, 내년 상반기에는 백신이 개발되리란 기대가 시장을 지탱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대선 이후에 예..

기고 2020.10.29

‘트럼프일까 바이든일까’...미국 대선 시나리오에 따른 투자 전략

[머니 인사이트] ‘트럼프일까 바이든일까’…미국 대선 시나리오에 따른 투자 전략 금융시장 변동성 11월 전후까지 이어질 전망…한국 증시에는 바이든 당선이 유리할 수도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가 9월 29일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에서 대선 후보 첫 TV 토론을 벌였다./AFP 연합뉴스 [한경비즈니스 칼럼=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경제학 박사)] 금융 시장의 변동성 확대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전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교착 상태에 빠진 추가 재정 부양 합의와 우편 투표 개표를 둘러싼 불복 가능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등 때문이다. 하지만 그 누가 당선되더라도 재정 부양책은 합의될 것이고 내년 상반기..

기고 2020.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