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311

정상화로 가는 여정, 높아진 균형

[Wealth Management] 정상화로 가는 여정, 높아진 균형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2020년 12월 GOLD&WISE를 통해 KB증권이 제시했던 2021년 글로벌 자산배분전략의 화두는 ‘The Great Shift’였다. 팬데믹과 탈세계화의 영향으로 첫째, 향후 경제성장의 동력이, 지난 50여년을 이끌었던 노동과 자본으로부터 ‘기술혁신’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으며, 둘째, 소수 대형기술주에 대한 집중 투자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산업들 (BIG: Bio/Information/Green Tech)로 전환되면서 이들이 폭발적인 성장기에 진입할 것이라는 점이었고, 셋째, 공공성이 강조되는 자본주의의 등장은 ESG의 본격적인 시작을 의미하며 ‘기후변..

기고 2021.11.24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 우려, 원인과 전망

[머니 인사이트]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 우려, 원인과 전망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공급망 차질,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글로벌 기업들의 공급망 차질이 심화되고 있다. 미국 등 선진국들의 공급병목 현상은 심각한 상황이며, 에너지 전환 정책과 맞물리면서 일부 에너지 자원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공급망 차질은 대부분 팬데믹의 장기화에 따른 결과인데, 수요와 공급 양 측면에 모두 원인이 있다. 수요 측면에서의 원인은 대규모 보조금 지급으로 상품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델타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라 사람들이 집 안에 머물면서 재화소비는 급증했지만, 공장가동 제한으로 생산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면서 재고부족이 심화되었다..

기고 2021.11.02

공급망 차질의 원인과 정상화 전망

[Wealth Management] 공급망 (Supply Chain) 차질의 원인과 정상화 전망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 https://bit.ly/2Za4WL8 공급망 차질,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팬데믹 이후 글로벌 기업들의 공급망 (Supply Chain) 차질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미국 등 선진국들의 공급병목 현상은 심각한 상황이며, 에너지 전환 정책과 맞물리면서 일부 에너지 자원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공급망 차질은 대부분 팬데믹의 장기화에 따른 결과인데, 수요와 공급 양 측면에 모두 원인이 있다. 먼저 수요 측면에서는, 백신 접종 확대로 멈췄던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었지만 생산은 상대적으로 ..

기고 2021.10.22

중국 헝다그룹 사태의 시스템 위험 전이 가능성과 시사점

[Wealth Management] 헝다그룹 사태의 금융시스템 위험 전이 가능성과 시사점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중국 2위 부동산 재벌인 헝다그룹의 디폴트 가능성이 전세계 금융시장을 긴장시키고 있다. 중국 정부가 부동산 개발회사의 부채 수준 규제를 발표한 지 1년 만의 일이다. 헝다그룹의 총부채 규모는 3천억달러가 넘는다. 현재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과거 중국사회의 모순이 절대빈곤에서 비롯되었다면, 현재의 모순은 절대불균형에서 비롯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공동부유 (共同富裕)를 실현하는 것은 경제적 문제일 뿐 아니라 당의 집권 기반과 관련된 중요한 정치적 문제”라면서 일련의 산업규제 조치들을 통해 민영기업들의 역할을 축소하고 이들의 빅데이터..

기고 2021.09.23

코스피의 가을 반등에 대비해야 한다

[머니인사이트] 코스피의 가을 반등에 대비해야 한다 코스피, 변동성 확대 속 내년 상반기 3800까지 상승 전망…‘성장주’의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 8월 이후 코스피의 두드러진 하락은 미국 중앙은행(Fed)의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 임박, 경기와 기업 실적 정점 우려,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 세 가지 요인이 한꺼번에 겹쳤기 때문이다. 경기 둔화와 Fed의 테이퍼링 조합은 특히 신흥 시장에 부정적이다. 백신 접종률이 낮은 신흥 시장의 이동 제한 강화도 영향을 줬다. 다만 코스피의 200일선(9월 14일 기준 3110) 부근에서는 분할 매수로 대응할 것을 권고한다. 현재의 조정은 새로운 하락 추세의 시작이 아니라 경기 침체 이후 주가 반등 국면에서 부양책 축소와 맞물려 나타나는 밸류에이션 멀티플..

기고 2021.09.19

주식 투자할 자신 없다면 당장 알아봐야 할 투자처의 정체

주식 투자할 자신 없다면 당장 알아봐야 할 투자처의 정체 신동준 KB증권 센터장이 말하는 ‘미래 투자는 ETF로 해야 하는 이유’ [방현철 박사의 머니머니] 14일 오후 5시 조선일보의 경제 유튜브 채널 ‘조선일보 머니’와 조선닷컴을 통해 공개된 ‘방현철 박사의 머니머니’에선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을 모셔 코로나 이후 투자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해 얘기를 나눠봤습니다. ‘방현철 박사의 머니머니’는 화·수·금요일 오후 5시 국내외 금융시장 흐름과 대응 전략을 조선일보 선정 베스트 애널리스트,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증권가 고수들의 목소리로 전해 드리는 시간입니다. https://youtu.be/cSTneTydrYo 신동준 리서치센터장은 조선일보와 금융정보엄체 에프앤가이드가 공동 주관한 ‘2020년 베스트..

기고 2021.09.14

주식 분할 매수 언제부터 시작할까

주식 분할 매수 언제부터 시작할까 신동준 KB증권 센터장 “코스피 상승장의 중턱 정도 와 있다...주식을 나눠서 살 때” [방현철 박사의 머니머니] 8일 오후 5시 조선일보의 경제 유튜브 채널 ‘조선일보 머니’와 조선닷컴을 통해 공개된 ‘방현철 박사의 머니머니’에선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을 모셔 시장 전망과 자산 배분 전략에 대해 얘기를 나눠봤습니다. ‘방현철 박사의 머니머니’는 화·수·금요일 오후 5시 국내외 금융시장 흐름과 대응 전략을 조선일보 선정 베스트 애널리스트,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증권가 고수들의 목소리로 전해 드리는 시간입니다. https://youtu.be/5KT0fjtr9as 신동준 리서치센터장은 조선일보와 금융정보엄체 에프앤가이드가 공동 주관한 ‘2020년 베스트 애널리스트’ 평..

기고 2021.09.10

한국증시 전망: 여름조정-가을반등-겨울상승

한국증시 전망: 여름조정-가을반등-겨울상승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8월 이후 코스피의 두드러진 하락 배경은 연준 (Fed)의 테이퍼링 임박, 경기와 기업실적 정점 우려,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이다. 세 가지가 한꺼번에 동시에 나타나면서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 경기둔화와 연준의 테이퍼링 조합은 특히 신흥시장에 부정적이다. 백신 접종률이 낮은 신흥시장의 이동제한 강화도 영향을 주고 있다. 다만, 코스피의 200일선 (3,060pt) 부근에서는 분할 매수로 대응할 것을 권고한다. 현재의 조정은 새로운 하락추세의 시작이 아니라 경기침체 이후 주가 반등국면에서 부양책 축소와 맞물려 나타나는 밸류에이션 멀티플 조정이기 때문이다. 코스피의 여름조정-가을반등-겨..

기고 2021.08.29

코스피 하락의 세 가지 원인과 대응 전략

[Wealth Management] 코스피 하락의 세 가지 원인과 대응 전략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8월 이후 코스피의 하락 배경은 연준 (Fed)의 테이퍼링 임박, 경기와 기업실적 정점 우려,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이다. 세 가지가 한꺼번에 동시에 나타나면서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 경기둔화와 연준의 테이퍼링 조합은 특히 신흥시장에 부정적이다. 백신 접종률이 낮은 신흥시장의 이동제한 강화도 영향을 주고 있다. 다만, 코스피의 200일선 (현재 3,060pt) 이하에서는 분할 매수로 대응할 것을 권고한다. 지금의 조정은 새로운 하락 추세의 시작이 아니라 경기침체 이후 반등 국면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밸류에이션 멀티플 조정이기 때문이다. 코스피는 여름..

기고 2021.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