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286

다가오는 승부처, 경기 정점 (peak out)과 테이퍼링 위험

[Wealth Management] 다가오는 승부처, 경기 정점 (peak out)과 테이퍼링 위험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승부처가 될 여름이 다가오고 있다. KOSPI를 포함한 글로벌 증시는 백신 접종과 경제활동 정상화, 양호한 기업실적, 각국의 높은 저축률, 미국의 경기부양책 등의 영향으로 추가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 다만, 2분기 중반에서 9월 중에는 한차례 조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하는데, “경기가 너무 좋기 때문에” 나타나는 ‘경기 정점 (peak out) 위험’과 ‘테이퍼링 (자산매입 규모 축소) 위험’ 때문이다. 경험적으로 경기가 정점을 기록하면 약 3개월 뒤에 테이퍼링 위험이 동시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약 10%의 조정이 나타날 여름은 주식비..

기고 2021.06.01

5월, 금융시장의 색깔이 달라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할 시점

[Wealth Management] 5월, 금융시장의 색깔이 달라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할 시점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장기금리의 큰 폭 상승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이 크게 조정 받지 않은 이유는 경제성장 전망이 빠르게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부터는 성장률 전망의 상향 조정세가 주춤해지면서 증시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시기다. 경기부양책이 빠르게 통과될 가능성도 낮고, 장기금리가 천천히 오르더라도 금리상승에 주식시장이 취약해질 수 있는 구조다. 국내외 증시는 장기적 관점에서 상승추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그러나 올해 2분기 말~3분기 초쯤에는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와 증세 논의 등에 따른 조정을 예상한다. 동 시점을 통해 주식 비중을 확대하는 것이 올해 ..

기고 2021.04.27

회복 자신감 붙은 미국 경제...6~8월 변동성 고비 온다

[머니 인사이트] 회복 자신감 붙은 미국 경제…6~8월 변동성 고비 온다 정상화 수혜 받는 경기 민감 업종 비중 확대…성장주 매수는 하반기 추가 기회 장기 금리의 상승 속도가 완만해지면서 증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채권 금리는 매파적 금리 인상 경로를 가정하더라도 적정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장기적으로는 미국의 빠른 경제 활동 정상화의 수혜를 보는 경기 민감 업종(산업·소재·경기소비)의 비중 확대를 권고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구조적 성장주(반도체·친환경)의 반등을 예상한다. 다만 미국의 경기 회복과 조기 통화 정책 정상화 우려는 달러 강세와 장기 금리 상승을 통해 주변국의 금융 환경을 긴축시키고 있다. 중국·한국과 신흥 시장은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 정책 정상화가..

기고 2021.04.06

[Premier Summit] 2021년 증시전망과 투자전략: 하반기의 추세를 노린다

[Premier Summit] 2020년과 2021년 증시전망과 투자전략이 다르다?! "하반기의 추세를 노린다!!" 2021.3.31 이 영상은 CEO, CFO, Next CEO 및 VIP 고객님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2021 KB증권 Premier Summit]의 1회차 '개강특강 (2021. 3. 24)'의 녹화영상이며 고객님들께 투자에 대한 참고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관련부분만 편집하여 제공되는 영상입니다. 마블TV youtu.be/lq6ESqsrPN4 여의도5번출구 www.youtube.com/watch?v=E7KwjM7o6aU

기고 2021.04.06

한국과 신흥시장은 여름의 통화정책 정상화 이슈를 넘어서야 한다

[주식시장 전망] 한국과 신흥시장은 여름의 통화정책 정상화 이슈를 넘어서야 한다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장기금리의 상승속도가 완만해지면서 증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완화될 것이다. 채권금리는 매파적 금리인상 경로를 가정하더라도 적정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장기적으로는 미국의 빠른 경제활동 정상화의 수혜를 받는 경기민감업종 (산업/소재/경기소비)의 비중확대를 권고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구조적 성장주 (반도체, 친환경)의 반등을 예상한다. 다만, 미국의 경기회복과 조기 통화정책 정상화 우려는 달러강세와 장기금리 상승을 통해 주변국의 금융환경을 긴축시키고 있다. 4~5월까지는 장기금리의 상승 속도가 완만해지면서 ‘경기부양책과 백신’에 따른 펀더멘털 개선..

기고 2021.04.06

tvN 미래수업: 인류의 희망, 백신

2021.3.22 tvN 월간기획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강연주제) 인류의 희망, 백신 백신 접종 이후에 나타나는 소비 패턴의 변화 '보복적 소비 심리'#미래수업​ | Living the New Normal EP.16 | tvN 210322 방송 www.youtube.com/watch?v=tqRj67fQhbE 백신 등장으로 빠르게 달라지는 경제 변화, 주목해야 하는 'B.I.G' 산업? #미래수업​ | Living the New Normal EP.16 | tvN 210322 방송 www.youtube.com/watch?v=KfQ6JnZZsY4 [#하이라이트​#] 백신은 '인류의 희망'이 될 수 있을까? / 강연 풀버전 #미래수업​ | Living the New Normal EP.16 | tvN 21..

기고 2021.03.25

한국과 신흥시장은 여름의 통화정책 정상화 이슈를 넘어서야 한다

[Wealth Management] 한국과 신흥시장은 여름의 통화정책 정상화 이슈를 넘어서야 한다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장기금리의 상승속도가 완만해지면서 증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완화될 것이다. 채권금리는 매파적 금리인상 경로를 가정하더라도 적정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장기적으로는 미국의 빠른 경제활동 정상화의 수혜를 받는 경기민감업종 (산업/소재/경기소비)의 비중확대를 권고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구조적 성장주 (반도체, 친환경)의 반등을 예상한다. 다만, 미국의 경기회복과 조기 통화정책 정상화 우려는 달러강세와 장기금리 상승을 통해 주변국의 금융환경을 긴축시키고 있다. 중국, 한국과 신흥시장은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언급되기 시작하는 6~8..

기고 2021.03.24

집단면역과 경제활동 정상화 시점이 빨라지고 있다

[똑똑투자] 집단면역과 경제활동 정상화 시점이 빨라지고 있다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 숭실대 금융경제학과 겸임교수/ 경제학박사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고 추가 재정부양책이 추진되면서 경제활동 정상화 예상 시점도 빨라지고 있다. 주요국 중에서 백신 접종 속도가 가장 빠른 미국은 5~6월이면 집단면역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경기회복과 인플레 기대, 장기금리의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다. 2분기까지는 상대적으로 회복이 빠른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과 달러강세를 예상한다. 다만, 지금부터는 장기금리의 상승속도가 완만해지면서 증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완화될 것이다. 채권금리는 매파적 금리인상 경로를 가정하더라도 적정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장기적으로는 미국의 빠른 경제활동 정상화의 수혜를 받는..

기고 2021.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