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진 아람코 상장 취소 가능성. 단, 이는 높아진 유가 때문 KB Commodity View 높아진 아람코 상장 취소 가능성. 단, 이는 높아진 유가 때문 사우디 국부펀드, 글로벌 은행으로부터 110억달러 대출 지난 17일 사우디의 국부펀드인 PIF (Public Investment Fund)는 글로벌 은행으로부터 110억달러 규모의 대출을 받았다고 밝혔다. PIF의 첫 상업은행에서의 대출이다. .. Alternative Investment 2018.09.18
[매크로전략] 채권전략: 리플레이션 모멘텀 둔화 불구 보수적 관점 유지 [Global Macro & FICC] 목차 1) 채권전략: 보수적 관점 유지 2) 글로벌 매크로: 통화정책 3) Trading Idea: 3월 금리 인상에 따른 리스크 요인에 주목 4) 국제유가: 3월말 이후 계절수요 본격화로 반등예상 5) 주요 이벤트: 유로/달러 환율 상승 시나리오 6) [EM] 인도: 주의회 선거에서 모디 정권 압승, 향.. Trading Idea·Strategy 2017.03.14
중앙은행들의 No Action, 인플레, 연준의 연내 금리인상 우려 재부각 1. ECB: 추가 완화도 시사도 없는 No action - ECB의 추가완화를 기대했던 투자자는 없었습니다만, 기대했던 채권매입 조건에 대한 완화 시사도 없었습니다. - 지난주 BOE와 마찬가지로 "이미 Brexit 우려가 약해지면서 주식시장은 거의 회복되었고, 유가의 기저효과로 하반기에는 물가마저 오히려.. Bondstone 2016.07.22
미국 원유수출 재개의 나비효과 [Econ Eyes & Global Credit] 미국 원유수출 재개의 나비효과 https://goo.gl/g7FmBd 당분간 유가는 상단이 제한된 흐름 40년 만에 미국이 원유 수출을 재개한다. 초과공급이 이어지고 있는 현재의 원유시장은 구조적으로 중동과 미국 셰일업체들 중 어느 한쪽이 무너지지 않고서는 유가의 반등을 견인.. FICC·FX·해외채권 2015.12.18
국제유가 급락, 어디까지 왔나? [Cross-Asset Inside] 국제유가 급락, 어디까지 왔나? 한계생산비용을 위협하는 수준에 접근, 배럴당 80달러 초반대에서 박스권 예상 국제유가 하락이 가파르다. 7월이후 전개된 달러강세의 영향도 크지만 10월 들어 가속된 급락현상은 펀더멘털 불균형에 대한 우려에 기인한다. 미국내 셰일오.. Alternative Investment 2014.10.17
국제유가와 환율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 [Bondstone] 국제유가와 환율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 국제유가 상승세가 재개되고 있지만, 원/달러 환율은 올해 내내 마이너스 기저효과를 가진다. 유가와 함께 환율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상반된 영향력을 가늠해 볼 필요가 있다. 연말까지 완만한 원화강세 전망이 유효하다면 연평균 100달러 수.. Bondstone 2011.03.06
고금리 Fixed Income에 대한 수요 [Bond Focus] 고금리 Fixed Income에 대한 수요 국고3년 5.70%대 초반 이익실현, 은행채 비중확대 ㅁ 고금리 Fixed Income에 대한 수요가 변화의 흐름 주도: 1) 외국인의 재정거래 재투자가 진행되면서 소위 '9월 위기설'의 ��려를 넘어서고 있다. 2) 반면 국내에서는 고금리 크레딧물과 정기예금 자금유입으로 국.. Bondstone 2008.09.08
환율과 유가변화의 영향력 [Bond Focus] 환율과 유가변화의 영향력 심리적 금리상승 요인, 실제 인플레 영향력은 크지않다 ㅁ 새로운 영역에 진입한 원달러환율과 국제유가: 장기저항선을 돌파한 원달러환율의 ��가상승 리스크가 커졌다. 기술적으로 1,150원까지도 뚜렷한 저항선을 설정하기 어렵다. 국제유가는 120일선의 저항으.. Bondstone 2008.08.25
인플레 안정에 대한 의심 [Market Insight] 인플레 안정에 대한 의심 (2008.6.9) 현대증권 리서치센터 신동준 3/4분기 중반, 물가는 안정될 수 있을까? 안정되는 듯 하던 국제유가가 이틀(6/5~6) 만에 16달러 이상 폭등했다. 사상최고치를 경신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배럴당 140달러에 육박하면서 멀게만 느껴졌던 150달러도 눈 앞으로 성큼 .. 기고 2008.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