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 돈이 사라지고 있다 [마켓레이더] 은행이 채권투자 꺼리는 이유는 은행의 채권투자 잔액이 올해 들어 29조원이나 급감했다. 작년 3월 고점 대비 무려 45조원이 감소했으며, 올해 들어 그 속도가 더 빠르다. 경제가 성장할수록 자산 규모가 꾸준하게 커지는 은행의 채권투자 감소는 상당히 이례적이다. 경기가 .. 기고 2013.12.05
'옐런 효과'로 반등 성공한 신흥국 주식 [글로벌 투자 따라잡기] ‘옐런 효과’로 반등 성공한 신흥국 주식 글로벌 자금 유입 없어 장기 상승은 회의적… 경제지표 ‘착시효과’살펴야 재닛 옐런 Fed 의장 지명자가 11월 15일 미 청문회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의 양적 완화 규모 축소(테이퍼링) 우려.. 기고 2013.11.21
금리 오른 이유부터 살펴봐라 [마켓레이더] 금리 오른 이유부터 살펴봐라 채권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국고채 3년 금리는 10월 23일 2.79%를 저점으로 한 달여 만에 약 0.20%포인트 올랐다. 그러나 조금 길게 보면 금리는 여전히 좁은 박스권이다.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우려로 4월 초 2.44%를 저점으로 급상승한 후부터는 국.. 기고 2013.11.21
위험요인 세가지, 현금보다는 채권 보유가 더 낫다 [신동준의 채권이야기] 글로벌 경기로 예상한 채권투자..현금보다 채권이 낫다 “내년 채권금리는 자연스럽게 상승할 것이다. 문제는 금리의 상승 속도다.” 투자자들을 만나보면 내년 글로벌 경기가 회복할 것이란 데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다. 채권은 시간이 흐를수록 이자가 쌓인다는.. 기고 2013.11.21
현금보단 채권투자가 낫다 [마켓레이더] 현금보다는 채권투자가 낫다 투자자들을 만나보면 대체적으로 내년도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다. 내년 채권금리는 자연스럽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금리의 상승 속도다. 채권은 시간이 흐를수록 매일 이자가 쌓인다는 점에서 매력이 있는 자.. 기고 2013.11.08
금리 안정으로 높아진 주식의 매력 [글로벌 투자 따라잡기] 금리 안정으로 높아진 주식의 매력 ‘섹터’보다 ‘지역’이 중요… 대체 투자 효용성 더 커질 것 투자자들을 만나보면 대체적으로 내년도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는 듯하다. 내년에도 선진국의 디레버리지(부채 축소) 마무리와 물가 안정을 .. 기고 2013.11.07
원화 재평가의 득실(得失)...외인 채권투자 계속될까? [신동준의 채권이야기] 원화 재평가의 득실(得失)...외인 채권투자 계속될까?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이 1050원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경제와 원화에 대한 재평가 때문이다. 대한민국 금융시장에서 환율 1050원이 주는 기억은 남다르다. 2004년말 당국의 강력한 저지선이기.. 기고 2013.11.06
템플턴이 한국 투자 늘리는 까닭 2011년초에 4개월간 참여했던 매경 마켓레이더를 연말까지 다시한번 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첫 글이 나갔는데요... 지면이 모자라서인지 편집을 좀 많이 하셨네요. 문맥이 많이 이상해졌습니다.ㅠ 원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켓레이더] 템플턴이 한국 투자 늘리는 까닭 24일 달러당 원.. 기고 2013.10.25
충격 큰 신흥국 자산, 다시 튀어 오른다 [글로벌 마켓] 충격 큰 신흥국 자산, 다시 ‘튀어 오른다’ 양적 완화 축소가 글로벌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내년에도 시장의 화두는 단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의 양적 완화 축소(Tapering) 여부다. 막대하게 풀린 돈들을 Fed가 어떤 시점에, 어떤 방식으로 줄여나갈 것인지, 전 세계 경제.. 기고 2013.10.24
미뤄진 양적완화 축소와 신흥국채권 투자전략 미뤄진 양적완화 축소와 신흥국채권 투자전략 No Tapering, 아무런 결정도, 기준도 제시되지 않았다 연준(Fed)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규모는 3.7조달러에 달한다. 그 중에서 채권만 3.4조달러다. 전세계에서 미국국채의 최대 투자자인 중국이 보유한 규모가 1.2조달러라는 점을 감안하면, .. 기고 2013.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