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7 금융안정대책 영향 진단 10.27 금융안정대책 영향 진단 한국은행, 기준금리 75bp 전격 인하 등 금융시장 안정대책 발표 ㅁ 기준금리 75b 인하: 한국은행 금통위는 임시 금통위 개최하여 기준금리를 현행 5.00%에서 4.25%로 75bp 인하. 총액한도대출 금리도 3.25%에서 2.50%로 75bp 인하 ㅁ 공개시장조작 대상증권 확대: 채권시장의 수급개.. News&Issue 2008.10.27
글로벌 금리인하 공조 불구, 각국 금리 상승 원인 전일(2008.10.9)은 주요 7개국의 정책금리 인하 공조(한국은행도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주요국 10년국채금리가 상승했습니다. 금리가 하락한 국가는 우리나라와 중국, 말레이시아, 홍콩 등에 불과합니다. 좀 더 찾아봐야겠지만, 일단 각국별로 원인을 조사해봤습니다. 기본적으로는 구제금융 자금 마련.. News&Issue 2008.10.10
미 정부, 7천억불 공적자금 조성의 금융시장 영향 2 여전한 불안심리, 변동성 확대 증권사에 대한 신용불안, 채권금리 상승 22일 채권금리는 미국의 공적자금 투입 법안 제출에도 불구하고, 증권사에 대한 신용불안이 이어지면서 상승하였음. 국고채3년 금리는 전일 대비 5bp 상승한 5.85%로 마감함. 은행채를 중심으로 단기채권 매도 물량이 출회되었음. 국.. News&Issue 2008.09.23
미 정부, 7천억불 공적자금 조성의 금융시장 영향 1 국내외 유동성 공급, 채권금리 하락요인 채권시장, 증권사 콜 차입 재개되며 시장금리 하락 전일 큰 혼란을 겪었던 채권시장은 19일 한국은행의 유동성공급으로 증권사들의 콜차입이 재개되면서 일단 진정되었음. 국채선물시장에서 외국인들의 6,310계약 대규모 순매도에도 불구하고 국고채3년 금리는.. News&Issue 2008.09.22
미 리먼사태 이후 금융시장 영향 3 안녕하십니까 현대증권 신동준입니다. 현대증권에서는 리먼브라더스 파산보호 신청 이후 매일 "리만사태 이후 금융시장 영향" 시리즈를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경제, 주식, 채권 등을 종합한 내용들이구요. 의미있는 뉴스 정리와 시장에 대한 간략한 코멘트를 드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확인해보니, 월.. News&Issue 2008.09.18
미 리먼사태 이후 금융시장 영향 1, 2 채권시장: 통화완화 기대 다소 약화, 이익실현 전일 17bp 급락하며 5.49%까지 하락하였던 국고 3년 금리는 17일 11bp 반등한 5.60% 에 마감하였음. 채권금리는 9영업일 연속 하락에 따라 단기급락에 따른 기술적 조정으로 해석됨. FRB의 기준금리 동결로 통화완화 기대가 다소 감소하였고, AIG의 구제금융 소식 .. News&Issue 2008.09.18
9월 위기설과 외국인 채권만기 관련 Q&A 어제 환율(+27.0원), 주가(-4.06%), 금리(3년 국고채+0.12%p)가 모두 트리플 약세를 보였습니다. 9월 외국인 채권만기에 따른 위기설이 투자심리를 불안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최근 자주 받았던 질문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Q. 외국인들이 보유한 9월 채권 만기도래 규모는 얼마인가? A. 9월 만기는 67억 달러입.. News&Issue 2008.09.02
주요국 은행채 스프레드 비교 안녕하세요 현대증권 신동준입니다. 은행채 스프레드가 이슈가 되면서, 해외 은행채 스프레드에 대한 문의가 많으시네요. 정리를 해봤습니다. 보통은 10년이 기준으로 되어 있습니다만(은행채-국채 스프레드), 우리나라 은행채의 주류인 2년물끼리 따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우리나라 은행.. News&Issue 2008.08.21
CD금리 상승의 원인과 전망 CD금리가 2bp 상승했습니다. 4월말 이후 지표금리인 국고채5년물 금리가 4.96%에서 6.12%까지 116bp 폭등하는 동안 CD금리는 5.36%에서 5.41%까지 고작 5bp가 올랐습니다. 꿈쩍도 않던 CD금리가 최근 7월3일 이후 4bp나 올랐습니다. 그동안 CD금리가 오르지 않았던 이유는, 은행의 발행수요가 적었기 때문입니다. 대.. News&Issue 2008.07.08
외환시장에 대한 우려 거듭된 당국의 달러매도 개입에도 불구하고 원달러환율이 종가로 2년8개월만에 1,050원에 올라섰습니다.(5.4원 상승한 1,050.4원) 주식과 채권시장의 약세흐름이 지속되고 있지만, 지금 이 순간 가장 걱정되는 부분은 원달러환율입니다. 그렇게 보는 이유는, 펀더멘털 여건상 원달러환율의 방향은 윗쪽입.. News&Issue 2008.07.04